OPENHOUSE

길동 채움

민현준+(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2023년 10월 21일 2:00PM
서울시 강동구 길동 255-2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주유소의 변신_대지는 강동구 길동 주유소가 있었던 자리이다. 대지 좌우로는 대형 교회와 200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있고 뒤편으로는 붉은 벽돌 위주의 다세대 주택들로 가득하다. 이 프로젝트는 자동차 연료공급 방식의 변화에 따른 주유소 부지와 도시의 미래에 대한 거시적인 고민에서 시작하였다. 과도기적인 대안으로 전기차 충전소와 문화 상업 기능을 배치하여 에너지 형식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라이프 사이클을 제안한다. 주유소 자리에 전기차 충전소를 두고, 그 충전 시간 동안 차 밖으로 나와 다른 문화 프로그램을 즐기며 사람도 충전한다는 주유소 터의 변신을 상상한 것이다.
주유소는 차량 접근이 유리하다는 장점과 위험 물질을 수반한다는 단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 아직 1만 볼트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차 고속 충전 시설은 기존 주유소보다도 더 위험한 시설이다. 미래 전기차 충전의 주류가 주유소와 같은 공간이 필요할지 아니면 손쉽게 집안에서도 가능할지 큰 흐름은 알 수 없다. 다만 이 경우는 주유소에 대한 기억이 전기차 충전소로 이어지고 이에 부속된 문화시설을 접목한 것이다.

30분의 시간_현재 검토된 전기차 급속 충전 시간은 30분이다. 설계 기간 중 발주처에서는 다양한 문화 상업 프로그램을 검토했다. 이와 무관하게 건축 공간은 30분 이내 충전 시간을 기준으로 경험하게 될 것이었다. 바쁜 현대인의 30분이라는 기다림의 시간은 공간을 디자인하는 실마리였다. 우리는 이 경험이 늦고 느린 빛과 공간을 발견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했다. 내·외부 곳곳에 빛과 음영 그리고 침묵을 경험하도록 빛과 어둠을 조절하였다. 철과 콘크리트는 빛과 공간을 경험하기에 적절한 중립적인 재료이다. 짧은 시간이나마 이곳의 빛과 공간을 경험하고 일상의 여유를 발견하는 시간이 되기를 목표하였다.
각 층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내부 공간은 가능한 한 열어주었다. 전기차 충전소에서는 카페가 연결되고 2층 카페와 3층의 SK 매직은 일부 공간을 공유하고 4층의 도서관은 마당들을 통해 3층 SK 매직과 연결된다. 충전소의 방문은 공간의 시각적인 연결 때문에 분수 효과처럼 상층으로 유혹한다. 층별로 별도의 인테리어가 있었지만 되도록 적게 추가되도록 요구했다.
콘크리트 노출과 알루미늄 유공판의 외피_주유소가 건축물이 아니라 공작물인 것처럼 이곳의 새로운 모습도 건축물보다는 플랫폼 같은 시설이 더 적절했다. 건축은 마감이 없는 수평의 콘크리트 슬래브와 수직 코어로 환원하고, 외피는 절곡된 알루미늄 유공판으로 마감하였다. 기존의 주유소 구조물을 가능한 유지한 채 최소한의 알루미늄 유공판으로 담장을 두른 것 같은, 건축 내부가 없는 구조물처럼 보이고자 했다. 주유소 기억에 대한 은유물이다.
다양하게 절곡하고 일정한 구멍이 뚫려 있는 알루미늄 유공판은 태양광의 각도와 내부 조명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외부에서 보면 낮에는 빛과 그림자 효과로 내부 창호를 사라지게 하며, 저녁에는 은은하게 내부의 빛이 외부로 투영된다. 이 유공판은 내부에서는 일사를 조절하고 얇은 커튼 같은 역할을 한다.

프로그램의 진화_밤이 되면 유공판의 물성은 사라지고 층별 내부의 기능이 노출된다. 카페 공유 키친 그리고 도서관은 완전히 다른 문화기능임을 투영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플랫폼 건축은 기존 건축의 유형(prototype)처럼 고정된 기능을 정착시키기보다는 새로운 라이프 사이클에 따른 흥미로운 기능을 유발하고 전환한다. 즉 2층은 현재 카페지만 극장이 될 수도 있고 4층은 도서관이지만 레스토랑이 될 수도 있다. 건축은 이러한 변화에도 변치 않으며 빛의 시간과 어둠의 공간과 시 산책로를 제공한다.

조경_외부 조경은 갈대와 대나무와 같은 초목을 사용하여 사람이 가꾼 정원이라기보다는 길들지 않은 원시 자연과 같은 풍경(landscape)을 만들고자 하였다. 원시 자연의 형상은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은 가장 친환경적인 조경이다. 원시의 자연과 어우러진 즉물적인 철과 콘크리트 구조체의 형상은 주유소가 사적인 건물로 치환된 것이 아니라 에너지의 변화로 화석화되는 모습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문화충전소, 문명의 전환_프로젝트는 SK네트웍스의 주유소 하나하나를 이처럼 변형하는 것을 전제로 했고 길동은 그 변화를 시도한 1호점이었다. 다만 SK에서 주유소 사업을 매각하여 최초이자 마지막 주유소 변형 프로젝트가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화석 연료에서 친환경 연료로 변화를 환유한다. 앞으로 수많은 주유소가 어떻게 변화될지 흥미롭게 지켜볼 일이다.

MPART 건축사사무소 사진 김종오


MPART 건축사사무소
mpartarchitects.com

민현준
민현준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환경대학원에서 석사를, 건축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기오헌과 샌프란시스코 S.O.M.,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를 쌓았으며, 2006년부터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로 재직, 2008년에는 건축사사무소 엠피아트를 설립해 다양한 건축 활동을 해왔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모전에 당선되어 2011년 완성했으며, 구립 용산노인종합복지관, 청담동 디자인포커스 사옥, 포스코테라로사 콩치노 콩크리트 등을 설계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영남권 교육 시설로 한국건축가협회상을, MMCA국립현대미술관으로 한국건축가협회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을 받았다.

길동 채움
위치: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 255-2
지역/지구: 도시지역, 제3종 일반주거지역, 중심지 미관지구
대지면적: 1,679.00㎡
용도: 2종 근린생활시설(휴게음식점, 사무소, 소매점)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장 재료: 알루미늄 타공 패널, 외단열 시스템
공사 종별: 신축
규모: 지하 2층, 지상 4층
최고높이: 20.2m
건축면적: 808.03㎡
연면적: 4,036.10㎡
건폐율: 48.13%(법정: 50%)
용적률: 122.27%(법정: 250%)
지하층 면적: 1,983.24㎡
용적률 산정 연면적: 2,052.86㎡
토목: CIP(cast in piled) 공법으로 구성된 흙막이 벽체를 STRUT 공법
법적 조경: 251.85㎡(대지면적의 15% 이상)
계획 조경: 260.10㎡(15.05%)
법정 주차: 18대 (2,585.32/134 = 17.80)
계획 주차: 50대 (기계식 22대, 자주식 28대 - 전기자동차 전용 1대, 카 쉐어링 1대 포함)

Map서울시 강동구 길동 255-2
건축가민현준+(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일시2023년 10월 21일 2:00PM
위치서울시 강동구 길동 255-2
집합 장소입구 (테라로사 앞)
TOP LIST
VISIT YOURSELF 백남준 기념관, 최욱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하는 백남준 생가 터 중 일부를 서울시가 매입하여 서울시립박물관의 기획으로 만들어진 곳이 백남준 기념관이다. 대상지의 건축물은 50여 년이 지난 도시형 한옥으로 백남준 생가의 흔적은 없고 필지의 일부를 점유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장소는 주민공동체와 서울시립미술관이 공존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카페는 주민공동체가 운영하며 공간은 주민들의 사랑방의 역할을 하며 기념관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운영한다. 마당은 두 협의체의 공유공간이다. 한옥을 기념관으로 만들며 세운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한옥의 목조 주요 부재를 드러냄을 우선으로 한다. 창호나 실내 칸막이 등 필요 기능에 의해 형성된 과거의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 도시형 한옥의 생명은 마당을 구심점으로 이루어짐으로 마당과 내부와의 연계에 집중하여 단면 계획에 섬세한 정성을 기울인다. 내외부 공간은 신발을 신고 다니므로 재료의 연계 및 구법을 통일시킨다. 지역의 오랜 기억을 가진 도로 측에서 보이는 외부공간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실내는 목적에 효과적인 구법을 구사하여 최대한 개방감을 만든다. 마당과 하늘 사이에 사람의 모습을 아름답게 만든다. 글 원오원아키텍츠  사진 ONE O ONE factory   백남준 기념관 개관 화 - 일 10:00~19:00 (관람 종료 30분 전까지 입장) 휴관 월요일, 1월 1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정상 개관) 관람료 무료 문의 02-2124-5268 웹사이트 https://sema.seoul.go.kr/kr/visit/nam_june_paik_house 원오원아키텍츠 http://101architects.com 최욱 1963년생.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 건축대학(dottore in arch.)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macdowell colony (u.s.a.), Valparaiso foundation (spain)에서 펠로우쉽을 받았다. 현재 ONE O ONE architects의 대표이다. 2006년 베니스 비엔날레, 2007년 선전-홍콩 비엔날레에 초대되었으며 대표작으로 학고재 갤러리, 두가헌,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 등이 있다.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가 2013 DFAA(Design For Asia Awards)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으로 2014 김종성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OPENHOUSE 콤포트 서울, 문주호(경계없는작업실) 2023년 10월 29일 2:00PM
VISIT YOURSELF 한내 지혜의 숲, 장윤규, 신창훈 지역문화재생 이제 서울의 도시재생은 도심 중심의 거창한 도시 구조나 도시 블럭을 개발하고 변화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작은 지역, 작은 동네를 이해하고, 버려지고 소외된 장소를 찾아내서 재생(Regeneration)함으로써 도시인의 직접적인 삶과 사회적 연대를 회복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작은 공간인 한내 지역 주민커뮤니티 공간을 통해서 지역문화를 재생하려는 제안이다.  한내근린공원은 중랑천변과 나란히 자리잡은 자연체육공원이다. 대지는 한내근린공원의 초입에 위치하며 오래전부터 고장이 나고 버려진 분수대가 방치되어있어 지역주민들과 공원 사이의 단절된 공간이었다. 또한 이 지역은 아파트 밀집지역으로 주거집중지역이지만 주민과 아이들을 위한 문화공간이 부재하였다. 버려진 공공공간을 재활하여 한내근린공원의 활기를 되찾고, 작은 주민커뮤니티를 매개로 하여 지역문화와 자연공원을 결합시키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공간을 구성하고자 했다. 내부로부터의 건축 공간을 이루는 기본단위는 책꽂이 벽(wall)인 가구적 구조로부터 시작한다. 책꽂이 벽은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이면서 분할하고 배분하는 장치이다. 과거의 벽이 구조적 한계에 의해서 고전적이며 공간적 소통을 막아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우리가 제안하는 책꽂이 벽은 유동하는 공간으로 구성하여 서로 소통하여 통합되고 혹은 적절이 독립되는 이중적인 미로 구조를 재현한다. 책꽂이 벽의 배치와 크기는 프로그램 배치와 구조의 적용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는데 즉, 가구와 공간과 구조의 조화를 실현하려 하였다. 100평이 안되는 작은 복합문화공간이지만 이곳에 오는 다양한 계층의 마을사람들은 유동하는 공간 곳곳에서 자신들의 목적과 유목성을 동시에 경험한다. 작은 공간은 통합적이며 순환적 공간을 통해 규모의 작음을 극복하고 다변적 가치의 공간으로 발전한다. 지붕을 이루는 삼각 프레임은 책꽂이 벽의 연장이며 미로와 같은 지붕 형태의 다양한 겹침은 그 사이로 자연의 빛을 받아들이는 틈새의 장치라 볼 수 있다. 다중적 코드의 미로공간이 자라나는 지역주민과 아이들의 상상과 창의 그리고 즐거움을 자극하는 공간이 되길 바란다. 글 OHS 사진 윤준환   운생동건축사사무소  http://www.usdspace.com   한내 지혜의 숲 장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마들로86(월계동) 한내근린공원내 개관 월-토 도서관   09:00∼18:00         지역아동센터  학기중 10:00∼19:00, 방학중 09:00∼18:00 휴관 매주 일요일, 법정공휴일, 임시공휴일 문의 02-979-7420
OPENHOUSE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 민현준(홍익대학교)+(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2023년 10월 29일 2:00PM
OPENHOUSE 도예가의 스튜디오 하우스 '란트샤프트', 심근영(아키텍츠 601) 2023년 10월 29일 2:00PM
OPENHOUSE [시간제 예약] 고석공간, 김수근 2023년 10월 29일 3:00PM
OPENHOUSE 과학자의 집, 조세연+이복기+최민욱(노말건축사사무소) 2023년 10월 29일 4:00PM
OPENHOUSE [전시] 주한 프랑스대사관 전시 오픈하우스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DPA 도미니크 페로 & 정림 컨소시엄 2023년 10월 29일 4:00PM
VISIT YOURSELF 백인제 가옥 서울시 민속문화제 제22호인 백인제가옥은 종로구 북촌(가회동)에 자리하고 있으며 1913년 건립된 근대 한옥으로 지난 2009년 서울시가 백인제(백병원 설립자) 유족으로부터 인수 후 보수공사를 거쳐,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건축 당시의 생활상을 복원 연출한 역사가옥박물관이다. 전통한옥과 다르게 사랑채와 안채가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 건축재료로 압록강 흑송, 붉은 벽돌과 유리창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안채의 일부가 2층으로 건축된 특징이 있는 일제강점기 대형(2,460㎡) 한옥으로 북촌에서 유일하게 실내까지 관람이 가능한 가옥이다. 북촌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2,460㎡의 대지 위에 당당한 사랑채를 중심으로 넉넉한 안채와 넓은 정원이 자리하고, 가장 높은 곳에는 아담한 별당채가 들어서 있다. 전통적인 한옥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도 근대적 변화를 수용하여, 건축 규모나 역사적 가치 면에서 윤보선 가옥과 함께 북촌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꼽힌다. 1907년 경성박람회 때 서울에 처음 소개된 압록강 흑송(黑松)을 사용하여 지어진 백인제 가옥은 동시대의 전형적인 상류주택과 구별되는 여러 특징들을 갖고 있다. 사랑채와 안채를 별동으로 구분한 다른 전통한옥들과는 달리 두 공간이 복도로 연결되어 있어, 문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일본식 복도와 다다미방을 두거나 붉은 벽돌과 유리창을 많이 사용한 것은 건축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사랑채의 일부가 2층으로 건축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전통한옥에서는 보기 힘든 백인제 가옥만의 특징이다. 글 사진 서울시 제공 장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7길 16(가회동) 이용시간 화-일 09:00~18:00 (입장마감 17:30)  ※ 자유관람시 외부 관람만 가능 휴관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관), 1월 1일 이용요금 무료 예약 해설 관람 예약 시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시스템(https://yeyak.seoul.go.kr/web/reservation/) 이용 문의 02-724-0232 백인제 가옥 www.museum.seoul.go.kr/www/guide/vis/BIJHShow/BIJHInfo.jsp?s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