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플랜잇 사옥(林. Plate-au+In-cloud roof)

백상훈(씨드하우스)

2023년 10월 21일 10:30AM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85-10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林. Plate-au
‘林’은 자연(林)을 상징하고,
‘Plate-au’는 들뢰즈라는 철학가의 책 「천개의 고원」에서 차용한 것으로 
고정된 곳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여 재탐구되어야 할 곳으로 
시작이나 끝에 있지 않은 중간지점으로서 늘 스스로 진동하면 변화하는 장소를 말한다.

White Mass_이 프로젝트는 대지 주변의 복잡한 콘텍스트로 인해 단순한 형태로 도시와 관계를 맺는 것으로 시작했다. 최대한 주변과 다투지 않는 순수한 단순함 속에 공간이 가지는 감수성, 새로움은 사람들에게 흥분과 기대,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매스의 흰색을 통해 시간과 환경에 따라 변화하면서 보이지 않는 빛을 사람들이 느낄 수 있길 바랐다. 이것은 건축이 가지는 도시의 태도이다. 건축은 보이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느끼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추구하려는 것이다.

Program_이 건축물은 광고를 기획하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으로 기획되었다. 지하층은 촬영을 위한 스튜디오 및 분장실, 지상층은 회사 직원들의 업무공간으로, 기능적이고 효율적이어야 하면서 촬영할 때 외부 사람들과 직원들이 겹치지 않도록 해야 했다. 그러면서도 곳곳에 사람들을 위한 외부공간을 만들어서 쉴 수 있거나 이벤트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해야 했다.

Open space_건축물 내부에 만든 외부공간은 도시와 일상의 복잡함으로부터 분리해 전혀 다른 느낌이 드는 두 개의 공간을 만들었다. 하나는 원시적인 자연을 표현한 돌과 물을 바탕으로 한 정원 그리고 다른 하나는 나무 데크와 정형화된 금속 플랜트 박스로 구성한 공간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한 건축물 안에 다른 형태의 외부공간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길 바랐다. 자연이 주는 변화에 대한 낯섦, 기대, 흥분, 공감…….

Material_건축의 재료에 대한 고민은 빛에 따른 흰색의 질감에서 비롯되었다. 하얀색의 스토(Sto:마감재)에 거친 자연적 질감을 줄 수 있는 돌과 벽돌을 통해서 인공적 재료와 자연적 재료의 관계가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 고민했다. 이것은 결국 자연과 인공적인 건축물이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지점 혹은 경계에 서 있고자 하는 표현이다. 이러한 생각은 내부 마감에 연결되어 자연의 빛을 가장 잘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건축적 질감으로서 노출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됐다

In-cloud roof
기존 건물의 빈 옥상에 직원들이 편하게 회의하고, 잠시 쉬기도 할 수 있는 공간을 증축하는 프로젝트이다. 기존 건물 옥상은 비워진 채 조경만 그 존재를 드러내면서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는 공간이었다. 그로 인해 옥상은 의미가 없는 장소가 되었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새로운 공간이 기획되었다. 

Roof – variable zinc_ 기존의 단순하고 순수한 흰색 덩어리는 주변과 다투지 않고 존재한다. 그 위에 새롭게 만들어지는 공간은 주변 콘텍스트와 이질적인 관계를 만들어 낯설고 흥미로운 존재로 드러나길 기대했다. 박공의 형태를 변형시켜 형태적 낯섦을 만들었고 재질은 하나의 색이 아니라 시간과 빛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드러낼 수 있도록 세 가지 다른 징크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붕은 주변의 변화에 따라서 매번 다른 모습으로 보일 것이고 도시의 이질적 형태는 마치 이방인인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보는 사람 그리고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특별한 경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했다. 

Inside space – irregular louver_건축의 내부 공간은 기존 조경을 최대한 경험할 수 있도록 했고 내부 공간은 주변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그림자가 투영되어 다양한 느낌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루버라는 장치를 이용했다. 한 공간 안에 시간과 외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형태를 통해 빛이 주는 변화에 대한 낯섦, 기대, 흥분, 공감처럼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길 바랐다. 

백상훈 사진 노경
 

백상훈
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와 동 대학원 건축의장연구실(Factory)을 졸업하였다.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 김영준 도시건축(Yo2)에서 실무 경력을 쌓은 뒤 2016년 씨드하우스(S.E.E.D haus)를 개소했다. 건축을 만드는 이들과 경험하는 이들, 그리고 건축물이라는 물리적 실체가 존재함으로써 발생하는 주변과의 관계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어렵고 거창한 형이상학적 담론보다 좀 더 작고, 낮고, 친숙하고, 친절하며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건축을 고민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논현동 플랜잇 사옥, 마임 비전빌리지 방문자센터, 삼성동 원더랩 사옥, 명동 아텍스 사옥, 압구정 복합문화시설 등이 있다.

설계: S.E.E.D haus (백상훈 소장)
설계담당: 백은정, 안성현, 이지선, 원태용, 김희정
대지위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85-10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614.90㎡
건축면적: 364.77㎡
연면적: 1,614.18㎡
규모: 지하2층, 지상4층
높이: 16.80m
건폐율: 59.32%
용적률: 149.94%
구조: 철근콘크리트, 철골조
시공: 공정건설㈜

Map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85-10
건축가백상훈(씨드하우스)
일시2023년 10월 21일 10:30AM
위치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85-10
집합 장소건물 입구
TOP LIST
VISIT YOURSELF 필운동 홍건익 가옥 필운동 홍건익 가옥(서울시 민속문화재 제33호)은 대문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 별채와 후원이 있는 구조이다. 자연 지형을 살려 건물을 앉혔으며, 일각문과 우물 같은 시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대지 면적은 740.5㎡, 건물 면적은 154.6㎡,이다. 사랑채에 중문을 두어 바깥채와 안채를 구분하였고, 안채에서 후원으로 이어지는 길에는 협문과 일각문을 두어 공간을 구분하였다. 후원으로 갈수록 지대가 높아지며, 후원 끝에는 단차를 이용하여 빙고(氷庫)를 만들었다. 쪽마루와 대청에 설치한 유리문과 처마에 설치한 차양은 근대 시기 한옥의 특징이다. 화강석, 적벽돌, 시멘트, 철제 난간 같은 여러 가지 재료로 담장을 쌓거나 집을 보수한 흔적이 시기별로 달라 집의 역사와 특징을 보여준다. 홍건익 가옥은 서울에 남아 있는 한옥 중 보기 드문 규모의 집으로, 근대 시기 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건축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서울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홍건익 가옥은 서울시에서 매입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2015년 보수를 마친 뒤 2017년부터 일반에 개방되었다. 살림집에서 공공한옥으로 집의 기능이 바뀌며 대문채는 관리실, 행랑채는 화장실, 사랑채는 전시실과 사무실, 별채는 관람객 공간으로 쓰인다. 안채는 모임 장소로 대관하거나 강연과 음악회 같은 문화프로그램을 개최하는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장소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1길 14-4 이용시간 화-일 10: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공휴일 이용요금 무료 문의 02-735-1374 www.linktr.ee/seoulhanok www.instagram.com/seoul.hanok/    글 사진 내셔널 트러스트
VISIT YOURSELF 계동 배렴가옥 계동 배렴 가옥(등록문화재 제85호)은 서울・경기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튼 ㅁ자형 근대 한옥(대지 257.9㎡, 연면적 98.78㎡)으로 1940년대에 지은 집이다. 민속학자 석남 송석하(1904~1948)가 말년을 보냈고, 1959년부터 1968년까지 화가 배렴이 기거하였다. 제당 배렴(1912~1968)은 실경수묵산수로 대표되는 독자적인 화풍을 완성한 화가로 해방 후 전통회화의 전통성을 되찾는 데 힘썼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홍익대학교 교수 등 미술계 중진으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배렴이 살던 시기에는 사랑채로 들어가는 별도의 출입구(솟을대문)가 있었고, 대문과 안마당 사이에는 담을 두어 대문을 들어왔을 때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도록 하였다. 목련나무, 감나무, 매화나무 등 나무를 키웠으나 지금은 목련나무만 남아있다. 배렴이 이 집에서 세상을 뜬 뒤 가족들이 1983년까지 살았고, 이후 몇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2001년 SH공사에서 매입한 뒤 임대하였고, 숙박시설로 활용되면서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 2017년부터 서울시가 역사가옥으로 개방하기 위해 공간 구성을 새롭게 하였다. 장소 서울시 종로구 계동길 89 이용시간 화-일 10: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공휴일 문의 02-765-1375, seoulbrhouse@gmail.com 웹사이트 www.seoulbrhouse.com 글 사진 내셔널 트러스트
VISIT YOURSELF 누하동 이상범 가옥과 화실 동양화가 청전(靑田) 이상범이 살았던 집이자 화실인 이곳은 2005년 등록문화재(제171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가옥은 서울시가, 화실은 종로구가 소유해 관리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방문 가능하도록 개방하고 있다.  문화재청에 의하면 가옥은 1930년대 누하동을 비롯하여 경복궁 서쪽 지역에 형성되었던 도시형 한옥 건물로 이상범 화백이 43년간 거주한 곳이며 희소성에서도 그 가치가 인정된다. 또한 화실은 이상범 화백이 화실로 사용하던 곳으로 이상범 화백이 작업에 열중하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는 곳으로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있어 가옥과 함께 선생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청전양식’이라는 자신만의 화법을 전개하던 산수화가인 이상범은 1942년부터 1972년 작고할 때까지 누하동 가옥에서 살았으며 배렴과 박노수 등이 배출되었고 그의 전성기 작품이 거의 이곳에서 완성되었다. 주택은 ㄱ자 안채와 ㅡ자 행랑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근대 도시한옥이지만 드물게 부엌에 찬마루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집, 최근 종로구립미술관으로 변신한 박노수 가옥과 함께 서촌의 근대 예술가들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소다. 글 서울시 사진 문화재청 장소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31-7, 31-8 (누하동) 이용시간 하절기 09:00-18:00, 동절기 09:30-17:30, 매주 월요일 휴관 문의전화 02-733-2038 +참고자료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79,01710000,11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860&contents_id=76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