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UDIO
<1950-70년대, 초기 아파트를 만나다> 한강과 아파트 단지, 가이드 정다은
프로그램 2ㅣ한강과 아파트 단지
한강맨션 - 이촌시범 중산아파트 - 여의도 시범아파트 답사
* 아파트 단지는 공동 주거 영역입니다. 단지 내 공동 영역에 대한 답사가 이루어지며, 사적 영역에는 접근이 어렵습니다. 답사 시 개별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이동과 답사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주거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지금의아파트와 또 어떻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을까. 아파트의 사회적 의미에서 도시에서 차지하는 의미까지, 아파트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활발한 요즘, 오픈하우스의 두번째 프로그램은 1950-70년대에 지어진 초기 아파트를 만나본다.
미쿠니아파트, 유림아파트(충정아파트)는 일제시대 이 땅에 지어진 최초의 아파트다. 현재 남아있는 충정아파트는 콘크리트로 지은 4층 규모의 중정형 아파트로, 일종의 관사로 지어졌다. 본격적인 아파트가 등장한 것은 1960년대의 일인데, 당시 1950년대는 전후 복구가 중요한 시기로, 국민주택, 외인주택, 상가주택 등 다양한 주택 유형이 연구되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좌식과 입식, 장동대의 유무를 두고 논의를 할 만큼 새로운 생활양식에 대한 고민을 하던 시기이기도 하고, 외국 주택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던 때다.
우리나라 기술로 지어진 최초의 아파트는 종암아파트이며, 1960년대에는 마포아파트가 조성되었으며, 동대문아파트, 정릉아파트와 같은 작은 규모의 아파트도 조성되었다. 삼각지, 회현아파트, 유엔빌리지와 외인아파트가 등장했으며 최초의 노출콘크리트로 눈길을 끈 힐탑아파트가 등장하기도 했다. 본격적인 대단지 아파트 시대로 진입하면서 홍제동 아파트, 화곡동 아파트가 조성되었다.
1968년 반포아파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파트 붐이 일어나게 되는데, 1970년대에는 최초로 중앙난방을 도입한 한강맨션과 공공공간에 대한 고민을처음 반영해 ㅁ자 배치를 만들고 처음으로 조경계획을 한 잠실 아파트 등이 등장했다.
흥미로운 것은 초기의 아파트는 전통과 현대의 생활양식 변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뿐만 아니라, 주거 공간에 대한 전문가들의 고민이 담겨있다는 것이다. 특히 단지형 아파트의 경우, 단지 내에서 공공시설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용시설들이 계획되기도 했으며, 단지 내 가로에 대한 고민이 반영되기도 했다.
공동주택의 초기 모습이 담긴 1950-70년대 아파트 답사를 통해 초기 공동주택의 이상과 현실, 아파트 공간을 재발견해본다.
진행 정다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와 서울건축학교를 졸업하고 건축사사무소 어싸일럼, 매스스터디스에서 실무를 쌓았다. 서울시립대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과정 중인 정다은 씨는 30년 이상 지난 한국의 근현대건축에 대한 관심으로 리서치를 계속해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