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서울 AI 허브

이승택 + 임미정(stpmj)

2024년 10월 30일 3:00PM
서울 서초구 태봉로 108
참가비 10,000원
사진_배지훈
사진_배지훈
사진_배지훈
* 로비에서 신분증 확인 후 출입증을 발급받으셔야 내부 진입이 가능합니다. 신분증을 지참해 주세요.
주차 시스템 제한으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 4층: 공군 연구소 구역으로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5~7층: 현재 KAIST에서 사용 중이며 출입이 어렵습니다.


벽 없는 실험실, 4차 산업 시대의 유연한 업무 공간

서울 AI 허브(Seoul AI Hub), 메가 플로어(Mega Floor)는 공유형 연구업무시설의 새로운 유형이다. AI 중심의 4차 산업을 위한 업무 공간은 다양한 산업의 협업과 공유를 통한 시너지를 위한 공간이며, 협업과 공유를 위한 공간의 성격과 환경적인 성능은 기존의 업무시설과 다르다. 메가 플로어는 확장된 공유의 개념을 평면과 단면, 및 외부공간에 적용하여 4차산업의 창의적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ㄱ’자 형태의 코어를 중심으로 조망이 좋은 북쪽과 동쪽은 입주연구공간이 자리하고 채광이 좋은 남쪽과 서쪽으로는 프로그램을 특정하지 않은 커다란 공유 공간(Neutral Space)이 위치한다. 입주기업의 목적에 맞게 회의실과 기타실은 코어의 한쪽에 통합되고, 층간 공유 공간의 활용에 따라 변화한다. 각 층은 사적, 보안영역에서 공적, 공유영역으로 확장하여 입주연구 공간, 코어 존의 공유 업무 공간, 공유 공간, 그리고 외부 공간으로의 위계를 갖는다.  보이드와 커뮤니티 계단으로 연결된 층별 공유 공간은 사용자의 시선과 동선을 수직적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교류와 협업이 가능하도록 계획된 공간이다. 메가 플로어의 공간 조직은 새로운 4차 산업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실현할 것이다.

(주)에스티피엠제이 건축사사무소 사진 배지훈


stpmj
stpmj.com

 

stpmj
stpmj는 이승택과 임미정이 이끄는 건축사사무소이다. ‘Provocative Realism’이라는 비전 아래 일상에서의 근본적인 아이디어를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여 주거, 문화, 상업시설 등에 적용하고 있다. 동시에 공공예술, 전시, 설치 작업을 통하여 건축의 경계를 탄력적으로 넓히는 실험을 하고 있다. 2012년에 뉴욕 건축가 연맹에서 수여하는 젊은건축가상, 2016년에 뉴욕건축사협회에서 수여하는 신진건축가상,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수여하는 젊은건축가상, 김수근 프리뷰상을, 2017년에 미국건축사협회 디자인 어워드 및 아키텍츄럴 레코드 디자인 뱅가드, 2019년과 2020년에 미국건축사협회 디자인 어워드를, 2021년에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이승택은 고려대학교와 하버드 GSD(Harvard GSD)에서, 임미정은 연세대학교, RISD, 하버드 GSD(Harvard GSD)에서 학위를 취득하였고 각각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겸임교수,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설계: (주)에스티피엠제이 건축사사무소(이승택, 임미정)
위치: 서울시 서초구 태봉로 108
의뢰인: 서울특별시

Map서울 서초구 태봉로 108
건축가이승택 + 임미정(stpmj)
일시2024년 10월 30일 3:00PM
집합 장소건물 입구
TOP LIST
Report 심향재, 홍만식(리슈건축) 한강을 품고 아차산을 마주한 암사동 선사마을은 암사유적지 인근의 유서 깊은 마을입니다. 각 세대의 독립성을 확보하면서도 아름다운 주변 풍경을 일상 속에서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된 심향재를 찾아가보았습니다.
Report 건축사사무소 김남, 김진휴, 남호진 건축사사무소 김남의 김진휴, 남호진 두 건축가의 그동안의 작업에 대한 설명과 차이를 줄여가기 위해 노력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엿볼 수 있는 오픈스튜디오였습니다. 
Report 이맥스시스템 사옥, 조남호+임기웅(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환경과 에너지 분야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도약을 준비하는 이맥스시스템. 그 사옥을 조남호 소장님의 안내로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서울 AI 허브, 이승택, 임미정(stpmj)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업무 공간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서울 AI 허브는 그 답을 보여줍니다. 다양한 산업 간의 협업과 공유로 시너지를 만들어내는 이곳을 찾아, 메가 플로어에 창의적으로 조직된 공간들을 살펴보았습니다
Report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리노베이션, 김승회(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 건축가의 섬세한 손길로 새롭게 태어난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을 찾았습니다. 성지의 품격을 고스란히 지키면서도 현대적 필요를 반영한 리노베이션은, 옛것과 새것의 아름다운 조화를 보여주었습니다.
Report 오목공원, 박승진(design studio loci) 목동의 대표적인 거점 공원인 오목공원(1989)은 30여 년이 넘는 세월 동안 나무들은 자랐지만, 휴식 공간이 부족했습니다. 조경가 박승진은 '어반 퍼블릭 라운지' 콘셉트로 회랑과 등받이 의자를 설치하고, 보행로를 줄이는 대신 더 풍성한 숲을 조성했습니다.
Report WGNB, 백종환  ‘같은 것을 보되 다른 생각을 하라’는 슬로건 아래, 우리 일상의 다양한 영감과 공간적 디자인을 연결해 새로운 관점에서의 공간을 추구하는 WGNB 스튜디오를 방문했습니다.  
Report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 류재은 2024 서울시 건축상 민간부문 우수상 수상작 ‘원서작업실’(류재은 건축사. ㈜건축사사무소 시건축)을 설계한 건축사사무소를 둘러보며 그동안  ㈜건축사사무소 시건축에서 진행된 프로젝트들과 그 이면의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기지 박서보주택, 조병수(BCHO Partners) 오픈하우스 진행 : 정윤석 팀장 기지 박서보 주택은 박서보 화백의 예술 철학이 반영된 공간으로, 단색화의 조화와 절제가 건축에 구현된 특별한 주택입니다. 그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된 이 주택은 예술과 건축이 만나는 독특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박서보 화백의 삶과 예술적 여정을 이해하며 공간을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