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오목공원

박승진(design studio loci)

2023년 10월 28일 4:00PM
서울 양천구 목1동 921번지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야외공간을 함께 산책하며 조경을 둘러보는 프로그램입니다. 편한 복장과 신발을 착장하시고 야외 산책이 불편하신 분들은 프로그램 신청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목공원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공원의 모습을 상상해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큰 나무와 정돈된 풀밭, 구부러진 산책로, 곳곳에 놓인 나무벤치들, 화초들이 피어있는 어떤 구역들. 운동하는 사람들, 산책하는 사람들, 재잘거리는 아이들. 공원은 평화롭다. 공원은 도시에서 만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공공공간이다.
오목공원은 1989년에 조성되었다. 목동 신시가지에 계획된 5곳의 거점 공원 중 하나로 만들어졌다. 반듯한 사각 형태에, 외곽을 두터운 녹지공간으로 둘러쳤다. 가운데는 광장으로 비웠고, 한쪽에는 벽천이 만들어졌다. 농구장에는 아이들이 많았다.
시간은 흐르고 도시는 변한다. 공원은 나이 들어간다. 나무는 굵어지고 높이 자랐다. 그늘이 깊어지니 나무 아래로 단단한 나지가 드러났다. 녹음 아래 벤치를 차지한 이들은 오래도록 앉아 있었다. 앉을 공간이 늘 부족했다.
설계공모안의 핵심은 공원에 변화를 꾀하는 것이었다. 사 먹지 않아도, 마시지 않아도, 눈치 보지 않고 당당하게 오래 머물고 싶은 공공공간이 더 필요했다. 나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중요했다. 단단하게 굳어진 땅바닥이 아니라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했다.
로비는 서성이는 곳이고, 라운지는 앉아서 떠드는 곳이다. 어떤 공원은 도시의 라운지 역할을 해도 좋겠다. 어쩌면 태생적으로 그런 곳이었는지도 모른다. “어반 퍼블릭 라운지(Urban Public Lounge)”는 우리 공모안의 키워드가 되었다. 공원은 오래 머물 수 있어야 한다. 충분한 의자가 필요한 이유다. 편하게 머물 수 있어야 한다. 등받이가 없는 벤치를 놓지 않은 이유다. 
높이 3.2미터, 폭 8.4미터의 회랑은 비워진 마당을 둘러싸는 사각형이다. 해가 높은 여름철엔 그늘이 깊다. 햇볕이 아쉬운 겨울에는 회랑 안까지 빛이 들어온다. 의자는 움직일 수 있어서 모여 앉거나 홀로 머물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모두 비워서 다른 용도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주말마다 열리는 장터를 상상했다. 제법 수준 높은 오케스트라 공연을 상상했다. 
숲이 커졌다. 넓은 보행로를 줄이니 숲이 늘어났다. 키 큰 나무 아래 작은 나무와 덤불들을 심었다. 걷고 머무는 곳, 풀과 나무가 자라는 곳을 구분했다.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의자가 있다면 테이블도 필요하다. 공원에서의 피크닉을 권장한다. 일명 “숲 라운지”의 역할이다. 오목공원은 올해 늦가을 전체 영역의 준공을 준비하고 있다. 원래 있었던 운동공간과 농구장이 개선되고, 키즈카페와 작은 미술관이 새로 만들어진다.
 
글 사진 박승진

©design studio loci

박승진(조경건축가,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경관, 도시, 정원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design studio loci 대표소장이다.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를 거쳐 우리나라 1세대 조경설계사무실인 서안에서 설계 실무를 했다. 워커힐호텔, 서울아산병원,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2007년에 현재의 사무실을 열어 풀무원 물의 정원, 남해 사우스케이프오너스클럽, 강릉 시마크호텔, 아모레퍼시픽의 기술연구원 및 오산 뷰티캠퍼스, 제주 오설록 티하우스, 아모레퍼시픽 본사사옥과 통의동 브릭웰정원, 대구 미래농원(mrnw) 등을 설계했다.
designloci.com

Map서울 양천구 목1동 921번지
건축가박승진(design studio loci)
일시2023년 10월 28일 4:00PM
위치서울 양천구 목1동 921번지
집합 장소서울 양천구 목동 920-2(오목공원 출입구1, 좌측지도)
TOP LIST
OPENHOUSE [전시] 주한 프랑스대사관 전시 오픈하우스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DPA 도미니크 페로 & 정림 컨소시엄 10월 28일 4:00PM
OPENHOUSE 오목공원, 박승진(design studio loci) 10월 28일 4:00PM
SPECIAL 선유도공원,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10월 28일 4:00PM
OPENHOUSE 숨쉬는 그물, 조남호+임기웅(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10월 28일 3:00PM
OPENHOUSE 성수 사일로: 서울제조산업허브, 강예린(서울대 건축학과)+이치훈(건축사사무소 에스오에이) 10월 28일 1:00PM
OPENHOUSE 사람사는 세상 노무현시민센터, 전숙희(와이즈건축사사무소) 10월 27일 5:00PM
OPENHOUSE [전시] 주한 프랑스대사관 전시 오픈하우스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DPA 도미니크 페로 & 정림 컨소시엄 10월 27일 4:00PM
OPENHOUSE 노원 책상 (노원구청 로비 리모델링), 조윤희+홍지학(구보건축) 10월 27일 4:00PM
OPENHOUSE 마곡문화관, 안창모+최춘웅 양천수리조합 마곡문화관으로 거듭난 구 양천수리조합 내 배수펌프장은 1928년 6월 30일 준공되어 현존하는 근대 산업시설물 중 유일한 농업관련 시설물로서 2007년 11월 등록문화재 제363호로 등록되었다. 양천수리조합은 1923년 설립된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 마곡리, 가양리, 등촌리, 염창리, 양서면 내발산리, 송정리, 방화리 내 총 595정보를 몽리구역으로 하는 수리조합으로, 총 길이 1680칸의 방수제를 축조하여 구역을 보호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그 기능을 계속 유지했으나, 1980년대 이후 주변 지역이 도시화하면서 1991년 용도 폐지되었다. 건축면적은 350㎡이며 22.5mx15.5m 크기의 콘크리트 기단부 위에 왕대공 트러스로 지붕이 구성된 목조 건축물이 보존 및 복원되었다. 배수장 내부에 수로가 관통하고 각 수로에 펌프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1993년 소유 기관인 한국농촌공사가 건축물을 임대하여 공장으로 활용되면서 기단부 부분이 복개되었고, 배수로 측 수로를 막고 있던 철재갑문들도 모두 사라졌다. 수직적 영역의 분리 건축적 복원과 더불어 배수펌프장의 농업 기반시설로서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을 본 과제의 중요한 목적으로 정했다. 지상 위로 드러나 있는 목조 구조체가 주변 지역을 향한 상징성과 실용적인 시설보호의 기능성을 위한 건축물이었다면, 지하 구조체는 배수펌프장의 실체로서 주변 지역의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해 복원되어야 할 역사의 흔적이라고 판단했다. 지하 구조체의 보존 상태는 물론 존재 여부에 대한 확증이 없었으나 문헌자료들에 의존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사라진 지하 공간을 다시 발굴하고 물의 공간으로 회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목조 구조체가 중심이 되는 역사적 경관을 최대한 유지하는 동시에 새로운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었다. 또한, 배수펌프장의 건축과 주변 조경을 다양한 시점에서 보고 경험할 수 있는 입체적 공간 조성을 가능하게 했다.  계획의 기본원칙으로 배수펌프장을 3개의 차별화된 수직적 영역으로 분리했다. 상부 목조건축물은 복원 영역으로 문화재로서 충실한 복원을 우선시하고, 기단부는 증축영역으로 자유롭게 변형했으며, 마지막으로 지하 공간은 발굴 영역으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배수펌프장의 원도면과 기록 사진에 의거하여 지하에 숨어 있는 수로 및 콘크리트 지하 구조체를 발굴하고 내부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신축 당시 도면을 근거로 기본계획을 세운 후 정확한 상황 파악을 위한 발굴 작업 후 현황에 맞추어 계획을 보완했다.  지하 배수로는 문화재에 포함되지 않지만, 배수펌프장의 정체성 유지를 위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하 공간을 최대한 발굴하고 활용하는 것은 지상 구조체를 복원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방문객들은 물의 통로를 따라 배수펌프장을 경험하고 거친 표면의 물성과 천창으로 유입되는 빛의 조화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글, 사진 최춘웅 마곡문화관 개관 화-일 10:00 ~ 17:30 휴관 월요일 입장료 무료 문의 02-2104-9716 웹사이트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lookaround/botanicGarden_03.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