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운중동 주택

이상진(건축사사무소 상건축)

2024년 11월 2일 2:00PM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유아 동반 불가능 프로그램
참가비 10,000원
사진_박영채
사진_박영채
사진_박영채
사진_박영채

* 투어 시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 주세요.
* 개인정보 노출 우려가 있는 외부 전경이나 세부적인 생활 공간은 촬영을 지양해주시고, SNS 게시를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빼곡한 운중동 속 편안히 숨쉬는 집

운중동 주택은 젊고 스마트한 부부의 집이다. 이들은 평소 효율을 중시하며 바쁜 일상을 보내는 만큼 새로 지어질 집은 보다 느긋하고 따뜻한 곳이기를 바랐다. 신혼집부터 단독주택에 살아보며 꾸준히 집짓기를 준비해 온 이들에게 필요한 집의 필수조건은 ‘개방감’이었다. 

판교지구의 서쪽 끝, 청계산에 기댄 대지는 인접 주거단지와의 경계에 위치한 탓에 서쪽 소나무 숲을 마주한다. 대지는 산자락에 있어 3m에 가까운 고저 차가 있으며, 격자로 나누어진 필지 중 코너에 위치해 있었다. 이 집의 큰 그림은 법규가 그렸다 할 수 있다. 주차장 출입구의 위치와 폭은 이미 결정되어 있었고, 소나무 숲을 마주하는 대지의 서측은 외벽의 길이 또한 제한하고 있었다. 이런 조건 속에서 어떻게 개방적인 집을 만들 것인지가 프로젝트의 핵심이었다.

우리는 소위 ‘방’과 같은 전형적 공간을 집안 깊숙이 침투하는 외부공간과의 관계를 통해 재구성하기로 했다. 왜냐하면, 도심형 주거에서 개방감이란 단순히 큰 창에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외부와의 연결을 강화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몇 개의 방이 요구되었지만, 부부가 살아갈 공간의 성격은 방의 개수가 아닌 외부공간과의 관계를 통해 정의되었다. 
직각이 없는 대지의 형태를 그대로 받아들임과 더불어 집의 구성에 절반을 차지하는 외부공간 덕분에 부수적인 공간들은 내밀하게 압축되어 있다. 반면 주된 공간들은 바닥과 천장의 높이 변화를 통해 그 쓰임과 분위기에 어울리는 비례를 가지며 집의 안쪽으로 열려있다. 또한, 전형적 형태에서 벗어난 이 공간들은 독립적인 외부공간과 맞닿아 개방감을 획득한다.

건축이 경사진 지표면과 맺는 관계에서, 외벽과는 별개로 한 켜 물러난 볼륨이 만드는 틈은 집으로의 진입을 이끈다. 경사를 따라 사선으로 이루어진 다소 낯선 어휘의 벽 또한 도로에서 한 발짝 물러나 차량 동선을 유도하며 도시와의 경계를 부드럽게 이어준다. 이 흐름은 내부 포치로 이어지는데, 이는 대문을 지나 현관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설계한 결과이다. 도시와 집의 경계를 수평적으로 연장하고 여기에 빛과 어둠과 바람과 자연을 공존하도록 해, 집을 마주하는 순간 또한 시시각각 변화하는 하나의 공간적 경험이 된다.

포치에서 시작된 보이드는 건축물 전체를 관통하며 발산하여 도시와 소통한다. 안마당을 품은 중정형 주택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내부화된 외부공간들로 인해 건축은 형태를 잃는다. 형태로 구속되지 않는 공간들은 도시와 만난다. 이는 곧 개방감이자 아늑한 마당이고 미시적인 도시의 시퀀스이다. 줄눈이라 불리는 입면의 패턴을 없앤 탓에 돌의 질감만 남겨진 외벽과 그 무거움을 한층 누그러뜨리는 이 보이드가 만나, 주변 주거지의 단절된 풍경 속에서 먼저 말을 건네는 그런 집이 되기를 바란다.

건축사사무소 상건축 사진 박영채


건축사사무소 상건축
officesang.com

이상진
이상진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이진욱건축사사무소와 모노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를 익혔다. 2021년 독립하여 건축사사무소 상건축을 이끌고 있다. 

설계: 건축사사무소 상건축(이상진)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지면적 : 229.6㎡
건축면적 : 114.77㎡ 
연면적 : 348.88㎡ 
규모 : 지하 1층, 지상 2층 
주차대수 : 2대 
건폐율 : 49.99% 
용적률 : 89.95% 
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 
주요마감재: 화강석, 스테인레스 산화발색
가구: (주)일도노 + 건축사사무소상건축
조경: 오픈니스 스튜디오 
전기·기계·설비: (주)정연엔지니어링
구조설계(내진): 아이디어구조 
시공: (주)제효 

Map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건축가이상진(건축사사무소 상건축)
일시2024년 11월 2일 2:00PM
위치경기 성남시 분당구
집합 장소비스트로도마 앞
TOP LIST
Report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심재호, 배정현 폴(제이파트너스) 내외부를 곡선으로 이어가는 디자인과 공간의 배치를 통해 아이들에게 정형화된 교실이 아닌 재미와 친근한 환경을 조성해 주려는 건축가의 고심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Report 유일주택, 최하영(마인드맵), 박창현(에이라운드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최하영 거주자에게 집에 이르는 기분 좋은 여정을 선물하는 유일주택을 찾았습니다. 공용공간에 여유를 두고 밝게 만들려는 의도가 정확히 드러나는 복도와 진입공간, 유일목욕탕에 대한 기억을 품은 지하 1층의 목욕탕 공간까지 공동주택에서의 공용공간의 쓰임을 최하영 건축가의 안내로 함께 했습니다.
Report 어느비움, 김인철(아르키움) 오픈하우스 진행 : 김인철 어느비움이 마주하고 있는 숲과 계절의 기운이 공간 안에서도 느껴집니다. 프라이버시, 디자인 등 건축과 관련된 거대한 키워드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Report 민워크샵 건축사사무소, 민우식 건축가 민우식이 가지고 있는, 일상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진 주택과 설계에 관한 이야기를 심도 있게 나눌 수 있었던 오픈스튜디오였습니다.
Report 건축사사무소 에스오에이, 강예린(서울대 건축학과)+이치훈(건축사사무소 에스오에이) 2010년 서울에서 설립된 건축사사무소 에스오에이(SoA)를 찾았습니다. 도시와 건축의 사회적 조건을 분석하며 다양한 규모의 구축환경을 다루는 이 젊은 건축가 그룹은 2023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작가로도 초청받았습니다. 그들의 작업실에서 건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엿보았습니다.
Report 운중동 주택, 이상진(상건축) 판교지구 서쪽 끝, 청계산이 기댄 땅에 자리 잡은 운중동 주택을 찾았습니다. 인접 주거단지와의 경계에 위치해 서쪽의 소나무 숲을 품은 이곳에서, 가을 단풍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을 만났습니다.
Report 건축사사무소 서가, 오승현 + 박혜선 건축사사무소 서가를 찾았습니다. 도시와 건축의 지속가능성을 고민하는 박혜선, 오승현 두 젊은 건축가가 이끄는 이곳에서 그들의 건축 철학을 들어보았습니다.
Report 서초동 일오, 조경빈(필동2가아키텍츠) 서리풀공원에 맞닿은 도로변에 자리 잡은 서초동 일오를 찾았습니다. 이곳은 기존 마을의 건축물들과 어우러지며, 앞으로 만들어낼 새로운 조화가 기대되는 흥미로운 공간이었습니다.
Report "la maison, je sais jamais.” – 그 집, 나는 몰라요., 임진수(아크로마키) 건축가의 대담한 '공간실험'에 건축주도 흔쾌히 동참했다는 이 집을 찾았습니다. 재미있게도 이곳은 '집'이라는 구조물의 정체성마저 모호하게 만들었고, 건축주는 그것이 정확히 무엇을 위한 공간인지 정의내리지 못한 채 입주했다고 합니다. 건축가의 바람대로, 지나가는 이들이 '이게 과연 집일까?' 하고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드는 독특한 공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