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UDIO

원오원아키텍스

최욱

2022년 11월 2일 5:00PM
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559, 4층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사진_ONE O ONE factory (원오원아키텍스 제공)

오랜 시간 한국 건축의 본질에 대해 탐색해온 건축가 최욱은 터가 만들어내는 미묘한 변화를 주목한다. 동양의 세계관과 관점의 차이를 주목하고 이를 건축에 담아내는 건축가 최욱은 건축의 내외부 관계에서 1소점 투시도를 벗어나 공간의 편안함, 공간 감각, 빛에 대한 컨트롤, 외부와의 소통을 담아내려는 작업을 펼쳐내고 있다. 일상의 소품부터 인테리어, 기획과 공간 제안, 건축까지 폭넓은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건축가이다. 우리 사회에서 건축가로서 갖는 태도와 작업에 관한 이야기, 일상성에 주목하고 깨어있는 개인이고자 한 건축가 최욱의 건축 이야기를 그 생산기지인 스튜디오에서 만나본다.

OHS  사진 정멜멜, ONE O ONE factory


원오원아키텍스
http://101architects.com

사진_정멜멜 (원오원아키텍스 제공)

최욱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건축대학교(Dott. Of Architecture)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미국의 맥도웰 콜로니, 스페인의 발파라이소 파운데이션에서 펠로우십을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의 객원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이탈리아 건축·디자인 매거진 도무스의 한국 로컬 에디션인 도무스 코리아(2018-2021)를 발행했다. 2000년 설립한 원오원 아키텍스의 대표이다. 
2006년 베니스 비엔날레, 2007년 선전-홍콩 비엔날레, 2013년 파리에서 열린 《한국 건축가 10인의 궤적》 전시에 초대되었으며, 2013년 현대카드 디자인라이브러리에서 개인전 《그라운드스케이프》를 열었다.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로 2013년 DFAA(Design For Asia Awards) 대상, 현대카드 영등포사옥으로 2014년 김종성 건축상, 가파도 문화예술창작공간으로 2019년 건축문화대상 대상 및 2020년 건축역사학회 작품상을 받았다. 2017년에 이탈리아 정부 공로훈장을 수상하였다. 

대표작으로 학고재 갤러리, 두가헌, CJ 경영전략연구소, CJ CEO 라운지(인재원, 상암동), 현대카드 디자인라이브러리, 현대카드 사옥(본사3관, 영등포, 부산), 가파도 프로젝트,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장(구 서울시장 공관), 삼일빌딩 리노베이션, 현대 모터 스튜디오 부산, 사유의 방, 가회동 두집 등이 있다.

Map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559, 4층
건축가최욱
일시2022년 11월 2일 5:00PM
위치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559, 4층
집합 장소입구
TOP LIST
Report 원오원아키텍스, 최욱 원오원아키텍스는 일상의 소품부터 인테리어, 잡지 출판, 건축까지 폭넓은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건축가로서 갖는 태도와 작업에 관한 최욱 건축가의 이야기를 듣고, 지금까지 작업해왔던 프로젝트에 대해 일부 들을 수 있었습니다. 층별로 성격이 다른 공간을 둘러보며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Report 家 · 꿈, 최하영(마인드맵 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최하영 동네 사람들의 공유지처럼 활용되던 오래된 동네의 빈 땅에 건물을 설계하면서 들었던 생각을 나누었습니다. 건축주를 배려하는 마음을 담아, 소품부터 공간까지 세심하게 설계된 부분들을 둘러보고 마지막으로 사계절을 경험할 수 있는 조경을 감상하며 프로그램을 마무리하였습니다.  
Report 엑셈 마곡 연구소,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이종우 수석 마곡지구에 들어선 엑셈 마곡 연구소는 네모반듯한 오피스에서 벗어나 심리적 지속가능성, 탄소 저감을 실천하는 친환경성, 창의적 업무 수행 방식을 수용하는 유연함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종우 수석(㈜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과 함께 과감하게 연결된 오피스 공간을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삼진제약 마곡 연구센터,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 김준모(㈜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마곡지구에 들어선 삼진제약 연구소는 주 입면이 서쪽을 향하고 있어, 전망을 확보하면서도 서측일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채택한 부풀어 오른 커튼 형식의 입면 디자인과 UHPC를 이용한 패널 제작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Report 로컬스티치 크리에이터타운 서교, (주)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이효상 오래된 건물과 새로운 문화가 공존하고, 예술가와 창작인들의 집결지인 서교동. 그 속에서 커다란 건물을 앉히기 위한 재료, 형태에 대한 전략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단순한 숙박시설을 넘어서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지로, 지역 체험과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탐구할 수 있는 독특한 빌리지를 함께 둘러보았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살롱 드 파리, 박정환 + 송상헌(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박정환 양천구 목동에 위치한 파리공원은 한불 수교 100주년을 기념해 조성되었습니다. 사용자를 위한 설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공원 한바퀴를 둘러보고,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의 미니멀한 디자인 언어와 설계 디테일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성불사, 조정구(구가도시건축) 성불사는 도심 속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고요한 명상을 즐길 수 있는 장소입니다. 사찰의 건축물은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간직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방문객들에게 고요한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특히, 인왕산과 북악산의 경관을 사찰 내부로 끌어들여 자연과 하나 되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이러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건축가와 관계자들이 기울인 노력과 정성이 곳곳에 배어 있어,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공간의 깊이를 더욱 느낄 수 있었습니다.
Report 집집마당, 신성진 + 손경민(볼드아키텍츠) 오픈하우스 진행 : 신성진, 손경민 집집마당의 대지는 겸재교가 생기면서 남은 폭 2m의 자투리땅과 직사각형 땅을 합친 'ㄴ'자의 모양이었습니다. 건축가는 폭 2m의 땅을 비워두는 방식이 아니라 공중 가로를 설치하여 공간을 활용하였고, 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면서 공동체 마을 단위 행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근린생활시설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듯 하지만 독특한 금속 외벽 재료, 공중가로, 건식 마감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Report 에이라운드건축사사무소, 박창현 써드플레이스 홍은 1~10까지의 설명과 함께 오래된 동네를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이웃'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오픈스튜디오를 통해 박창현 건축가의 공동주택에 대한 생각과, 이를 담는 건축에 대한 생각을 나누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