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전시] 주한 프랑스대사관 전시 오픈하우스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DPA 도미니크 페로 & 정림 컨소시엄

2023년 10월 29일 4:00PM
서울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43-12
* 유아 동반 불가능 프로그램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Luxigon_Dominique-Perrault-Architecte_ADAGP
©Luxigon_Dominique-Perrault-Architecte_ADAGP
©Luxigon_Dominique-Perrault-Architecte_ADAGP
©Luxigon_Dominique-Perrault-Architecte_ADAGP
©Luxigon_Dominique-Perrault-Architecte_ADAGP
©Luxigon_Dominique-Perrault-Architecte_ADAGP
©Rayus_Dominique-Perrault-Architecte_ADAGP
[10월 18일 오후 2시 예약 신청 시작]
주한 프랑스대사관 내 사무동에서 열리는 DPA 도미니크 페로와 정림 컨소시엄의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전시를 위해 오픈하우스를 진행합니다. 이번 오픈하우스는 전시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루며, 이와 함께 사무동 저층과 데크, 김중업 파빌리온 공간을 둘러봅니다. 

진행: 여화진, 전덕화(정림건축)


2017년 10월, 도미니크 페로 아키텍처와 정림 컨소시엄은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GITC) 국제 공모전에서 우승했습니다. 이 거대한 지하 교통 허브는 한강 남쪽에 위치하며 강남 비즈니스 지구 중심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도시 북쪽에 이화여대 캠퍼스 복합단지(ECC)를 짓고 2008년 서울건축상을 받으며 인정받은 지 9년 후 도미니크 페로 아키텍처는 한국 수도의 가장 현대적인 지구의 중심부를 탐구하기 위해 떠났습니다.
현재 건설 중이며 2028년에 완공 예정인 "라이트워크" 프로젝트는 이 전시의 핵심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라이트워크"의 역사를 도면, 콜라주, 단면 및 3D 렌더링을 통해 추적할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책이라는 형식으로 전시될 예정이며, 책의 페이지는 이미지들의 거대한 모자이크처럼 배열될 것입니다. 이 책은 전시를 관통하는 주요 주제 역할을 하며, 이 매혹적인 프로젝트에 완전히 몰입하도록 여러분을 초대할 것입니다. 

글 사진 DPA 
주한 프랑스대사관 사진 김용관 
Architecture / Infrastructure. Lightwalk Seoul Gangnam Intermodal Transit Center
DPA Dominique Perrault & Junglim Consortium


In October 2017, Dominique Perrault Architecture and the Juglim Consortium w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to design Seoul’s Gangnam International Transit Center (GITC), an immense subterranean transport hub located to the south of Han River, right in the center of the Gangnam business district. Nine years after building the campus of Ewha Womans University to the north of the city, acknowledged in 2008 by the Seoul Metropolitan Architecture Award, Dominique Perrault Architecture set out to explore an entirely different territory: the heart of the most modern district of the Korean capital.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and scheduled for completion in 2028, this project is at the heart of this exhibition. We will trace the history of "Lightwalk" through drawings, collages, cross-sections, and 3D renderings. The project will be presented through the Lightwalk Seoul Gangnam Intermodal Transit Center book, whose pages will be laid out like a large mosaic of images. The book will act as the main thread running through the exhibition, inviting you to immerse yourself fully in this captivating project.

Written by DPA 
©Alexandre-Tabaste_Dominique-Perrault-architecte_ADAGP
도미니크 페로 Dominique Perrault
도미니크 페로는 프리미엄 임페리얼 어워드 수상자로, 프랑스 국립 도서관(1995)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후 베를린 벨로드롬과 올림픽 수영장(1999), 룩셈부르크 유럽사법재판소 증축(2008, 2019),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2008), 일본 오사카 후쿠오쿠 타워(2010)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샤토 드 베르사유의 파빌리온 뒤푸르 재개발(2016), 파리 루브르박물관의 포스트 뒤 루브르(2021), 불로뉴 빌랑쿠르의 메탈 57 리노베이션(2022) 등 다양한 유산 개조 프로젝트도 수행한 바 있다. 도미니크 페로는 건축을 도시 계획과 본질적으로 연결된 분야라고 믿으며 파리 일 드 라 시테의 도시 미래 연구 프로젝트, 2024 파리 올림픽과 패럴림픽 선수촌 개발 프로젝트를 맡고 있다. 서울 영동대로 강남국제환승센터 '라이트워크'를 진행하고 있다.
Map서울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43-12
건축가DPA 도미니크 페로 & 정림 컨소시엄
일시2023년 10월 29일 4:00PM
위치서울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43-12
집합 장소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합동 31-15(좌측 지도)
TOP LIST
OPENHOUSE [전시] 주한 프랑스대사관 전시 오픈하우스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DPA 도미니크 페로 & 정림 컨소시엄 10월 29일 4:00PM
OPENHOUSE 과학자의 집, 조세연+이복기+최민욱(노말건축사사무소) 10월 29일 4:00PM
OPENHOUSE [시간제 예약] 고석공간, 김수근 10월 29일 3:00PM
SPECIAL 경춘선 숲길,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10월 29일 2:00PM
OPENHOUSE 도예가의 스튜디오 하우스 '란트샤프트', 심근영(아키텍츠 601) 10월 29일 2:00PM
OPENHOUSE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 민현준(홍익대학교)+(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10월 29일 2:00PM
SPECIAL 양천공원 책쉼터, 김정임 처음 해야 할 일은 공원 안에 집을 앉힐 자리를 찾는 것이었다. 야외공연장 무대 구조물을 개조하여 어린이놀이터로 만든 장소 옆에 자리를 잡아 비슷한 기능을 묶어주는 것이 좋겠다 싶었다. 집을 앉힐 터에는 듬성듬성 몇 그루의 나무가 있었는데 수형이 예쁜 감나무 한 그루가 눈에 들어왔다.  그 나무를 잘 살리는 방향으로 계획을 시작한 것이 결과적으로 예전부터 그곳에 있는 것들의 존재를 다 수용하며 집을 앉히는 것으로 발전되었다. 감나무와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나무 그늘 아래 둘러앉을 수 있는 외부공간을 만들고 서쪽의 놀이터와 동쪽 잔디밭의 둥근 선형을 그대로 가져와 집을 앉혔다. 먼저 있었던 존재들 사이를 조심스레 비집고 들어가 집이 앉은 모양새이다.  부지에 있던 1.2m 정도의 레벨 차이는 내부에서 그대로 경사로로 연결하여 아래 레벨은 카페와 어우러져 차 한잔하면서 책 읽는 공간으로, 위 레벨에는 어린이를 위한 도서를 두어 조용하고 편안하게 책을 볼 수 있는 분위기로 만들었다. 또한, 레벨 차를 이용해 몇 단의 계단식 좌석을 만들었는데 그 앞쪽의 잔디밭을 향한 외벽은 폴딩 도어를 설치해 계절 좋은 날은 열어서 작은 음악회나 영화상영 등 공원과 연계된 다양한 이벤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서관을 설계할 때 예전에는 서재 같은 공간을 만들었다면 요즘은 거실 같은 분위기의 공간으로 만드는 추세이다. 양천공원 책쉼터도 개방된 하나의 공간으로 계획하여 책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사람들이 책을 읽거나 차를 마시거나 대화를 나누는 등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거실 같은 분위기가 되길 바라며 계획하였다. 공간이 부드럽게 흘러가는 느낌을 주기 위해 구조 부재를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 중앙의 커피스탠드와 원형 보이드를 이용하였다. 커피스탠드는 지붕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중심 역할을 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로 계획하고, 두 개의 원형 보이드 경계에는 책장과 결합한 스틸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끝부분의 처짐을 받게 하였다. 140평 규모의 단층 건물은 녹음이 우거졌을 때나 잎을 떨군 후 짙은 색의 나뭇가지들이 돋보일 수 있는 배경이 되도록 아이보리색 벽돌로 마감하였다. 놀이터와 책쉼터 사이에는 두께 9mm 철판을 가느다란 원형 기둥으로 받친 간결한 형태의 캐노피를 만들어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 그리고 함께 온 어른들이 쉴 수 있는 그늘 공간을 두었다. 건축물과 주변 환경이 엮여서 하나의 장소로서 기능하며 다양한 사용풍경이 펼쳐지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공원과 도서관은 참 잘 어울린다. 개관 후 거기서 일하시는 사서 선생과 얘기할 기회가 있었는데 비 오는 날, 눈 오는 날이 참 좋다는 얘길 해주셨다. 생각해보니 궂은날 건물 안의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책장을 넘기며 공원을 바라보는 기분이 꽤 괜찮을 것 같다. 서울시에서는 혹한기나 혹서기에도 공원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공원 안에 쉼터 만들기 사업을 계속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생활 SOC 사업이고 공간복지를 구현하는 일인데 거창하게 말하지 않더라도 동네에 누구나 쉽게 갈 수 있는 좋은 공간이 많이 있다는 건 모두가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이고 이를 설계할 기회를 얻게 된 건 건축가에게도 무척 보람된 일이었다.  글 김정임 사진 노경 서로아키텍츠 seoroarchitects.com/ 양천공원 책쉼터 장소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 111 양천공원 책쉼터 개관 화-일 10:00 ~ 19:00 휴관 월요일 및 공휴일 이용요금 무료  문의 010-9809-0596 홈페이지 ycpark.modoo.at  
SPECIAL 서울식물원_온실, 김찬중 서울 강서구 마곡 도시개발지구에 조성된 서울식물원은 식물원과 공원이 결합한 새로운 개념이 도시형 식물원이다. 504,000㎡의 면적에 주제원,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이 펼쳐져 있다. 이 중 주제원이 식물원, 나머지 셋은 공원 개념으로 설계되었다. 더_시스템 랩에서 디자인한 온실과 식물문화센터는 주제원에 자리하고 있다. 직경 100m의 온실은 전형적인 유리 돔 대신 가운데가 오목한 그릇 형태를 띠고 있다. 일반적인 온실의 경우 천장이 높은 중앙부에 키가 크고 눈에 띄는 식물을 주로 배치해 사용자의 경험 또한 중심으로 집중된다. 가운데가 오목한 경우 온실의 가장자리가 천장의 가장 높은 부분이 되어 시각적으로 개방된 환경을 만들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다양한 식물들을 주인공으로 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이 더 풍부한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다. 오목한 지붕으로 자연 집수되는 우수는 정화하여 조경 용수로 재활용하도록 하였다.  건물의 주요 구조부는 오목한 단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테두리가 바깥으로 확장되면서 자연스레 꽃과 같은 형상의 기본 구조 프레임이 확정되었다.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RC조로 구상하였으나 시공성과 유지 관리 이슈를 고려해, 실시설계 단계에서 철골조로 변경되었다. 식물 세포 형상의 구조로 된 지붕은 ETFE(에틸렌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로 계획하였다. 특수소재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유리보다 20% 이상 높고 내오염성이 뛰어나며,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이다.  온실은 기후환경을 기준으로 지중해관과 열대관, 2개 구역으로 나뉜다. 외부 산책로로부터 원형의 둘레를 따라 온실로 입장하게 되면, 바닥 레벨의 산책로를 거닐며 다양한 식물의 전시를 관람하며 중앙의 코어와 상층부의 스카이워크를 통해 더 가까운 거리에서 식물을 대면하여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글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사진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SH공사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thesystemlab.com 서울식물원 개관 화-일 09:30~18:00(17:00 매표 마감) 휴관 월요일 입장료 대인 5000원, 청소년 3000원, 소인 2000원 ※ 입장료 적용 구간 : 온실 및 주제정원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은 상시 무료 개방) 문의 02-2104-9716 웹사이트 botanicpark.seoul.go.kr/front/main.do
OPENHOUSE 한내 지혜의 숲, 장윤규, 신창훈 지역문화재생 이제 서울의 도시재생은 도심 중심의 거창한 도시 구조나 도시 블럭을 개발하고 변화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작은 지역, 작은 동네를 이해하고, 버려지고 소외된 장소를 찾아내서 재생(Regeneration)함으로써 도시인의 직접적인 삶과 사회적 연대를 회복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작은 공간인 한내 지역 주민커뮤니티 공간을 통해서 지역문화를 재생하려는 제안이다.  한내근린공원은 중랑천변과 나란히 자리잡은 자연체육공원이다. 대지는 한내근린공원의 초입에 위치하며 오래전부터 고장이 나고 버려진 분수대가 방치되어있어 지역주민들과 공원 사이의 단절된 공간이었다. 또한 이 지역은 아파트 밀집지역으로 주거집중지역이지만 주민과 아이들을 위한 문화공간이 부재하였다. 버려진 공공공간을 재활하여 한내근린공원의 활기를 되찾고, 작은 주민커뮤니티를 매개로 하여 지역문화와 자연공원을 결합시키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공간을 구성하고자 했다. 내부로부터의 건축 공간을 이루는 기본단위는 책꽂이 벽(wall)인 가구적 구조로부터 시작한다. 책꽂이 벽은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이면서 분할하고 배분하는 장치이다. 과거의 벽이 구조적 한계에 의해서 고전적이며 공간적 소통을 막아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우리가 제안하는 책꽂이 벽은 유동하는 공간으로 구성하여 서로 소통하여 통합되고 혹은 적절이 독립되는 이중적인 미로 구조를 재현한다. 책꽂이 벽의 배치와 크기는 프로그램 배치와 구조의 적용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는데 즉, 가구와 공간과 구조의 조화를 실현하려 하였다. 100평이 안되는 작은 복합문화공간이지만 이곳에 오는 다양한 계층의 마을사람들은 유동하는 공간 곳곳에서 자신들의 목적과 유목성을 동시에 경험한다. 작은 공간은 통합적이며 순환적 공간을 통해 규모의 작음을 극복하고 다변적 가치의 공간으로 발전한다. 지붕을 이루는 삼각 프레임은 책꽂이 벽의 연장이며 미로와 같은 지붕 형태의 다양한 겹침은 그 사이로 자연의 빛을 받아들이는 틈새의 장치라 볼 수 있다. 다중적 코드의 미로공간이 자라나는 지역주민과 아이들의 상상과 창의 그리고 즐거움을 자극하는 공간이 되길 바란다. 글 OHS 사진 윤준환   운생동건축사사무소  http://www.usdspace.com   한내 지혜의 숲 장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마들로86(월계동) 한내근린공원내 개관 월-토 도서관   09:00∼18:00         지역아동센터  학기중 10:00∼19:00, 방학중 09:00∼18:00 휴관 매주 일요일, 법정공휴일, 임시공휴일 문의 02-979-7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