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클리오 사옥

임재용

2022년 11월 3일 3:00PM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66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도시 풍경을 만드는 새로운 전략: TERRAFFICE = TERRAHOFFICE 
건축의 양면을 동시에 구축하는 새로운 전략: TERRAFFICE 

이번 프로젝트는 도시적 스케일로 사방에서 쉽게 인지될 수 있는 대지의 조건과 불특정 다수가 아닌 모든 층의 기능을 세세히 정의해야 하는 사옥이라는 프로그램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외부 관찰자와 내부 경험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전략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 결과로 새로운 전략으로 내놓은 것이 ‘TERRAFFICE’다. ‘TERRAFFICE’는 땅을 의미하는 ‘TERRA’와 사무 공간을 의미하는 ‘OFFICE’를 합친 합성어이다. 인간에게 삶의 터와 일터에서 땅을 밟고 사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무 공간이 효율 일변도의 공간으로 진화되고 점점 고층화되면서, 일터에서 땅을 밟고 자연을 느끼게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고 있다. 일터에서 땅을 밟고 자연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 없을까? 그 해법으로 제안하는 것이 사무실의 모든 층에 테라스를 두는 새로운 유형의 사무실인 ‘TERRAFFICE’다. 

다양한 도시 풍경을 만드는 백색 프레임: 관찰자의 시점 
클리오(CLIO) 사옥의 테라스는 4개 층마다 벽 구조로 지지 되는 비교적 큰 규모의 테라스가 엇갈리게 적층되어 있고 그사이에 매 층 작은 테라스가 매달려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테라스는 사람과 자연이 만나는 매개공간이면서 다양한 도시의 풍경을 만드는 중요한 요소인 프레임이 된다. 프레임은 그 자체가 간결할수록 다양한 변화를 잘 담아낼 수 있다. 재료도 백색 박판 세라믹과 저철분 유글라스, 저철분 유리 세 가지로만 조합되어 있어 주변의 풍경을 잘 담아낸다. 백색의 이미지는 색조 화장품 회사의 이미지를 잘 반영하기도 한다. 
이러한 프레임으로 장착된 클리오(CLIO) 사옥은 도시의 다양한 지점에서 관찰된다. 성수대교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면 서울숲 너머로, 왕십리로를 따라 남쪽 이동하면서 도로의 선형을 따라 다양한 풍경으로 관찰된다. 서울숲 거울 연못과 언더스텐드 에비뉴 그리고 뚝섬역에서도 관찰된다. 설계 당시 의도했던 장면도 있고 뜻밖의 발견도 있다. 어차피 도시는 그런 것이 아닌가? 

다양한 도시 풍경을 조망할 수 있게 하는 뷰파인더: 사용자의 시점 
테라스는 다양한 도시의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뷰파인더의 역할을 한다. 테라스를 통해 바라보는 도시의 풍경은 창문을 통해 바라보는 것과 비교할 수 없다. 열린 풍경 자체도 다르지만, 자연을 피부로 직접 접촉하는 상황과 그렇지 못한 것과의 차이가 더 클 것이다. 카메라의 뷰 =파인더로 도시의 풍경을 찍듯이 테라스의 위치와 방향을 목표를 가 지고 설정하였다. 거의 모든 층에서 남쪽으로 한강, 서쪽으로 남산, 멀리 동쪽으로 롯데타워를 조망할 수 있다. 

글  (주)건축사사무소 OCA 사진 남궁선


(주)건축사사무소 OCA
http://oca.kr

임재용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건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0년 미국 LA에서 O.C.A.를 개소, 1996년 귀국하여 건축사사무소 O.C.A.를 개소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는 사회, 경제, 문화의 전반적 상황의 변화를 인식하고 그것을 건축에 담아내고 새로운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아카시아 건축상, 건축문화대상 대상, 건축가협회상, 서울시건축상 대상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으며 2019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총감독을 역임하였다. 


설계 담당: 김희동, 정인철, 박경은
위치: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66 (성수동1가)
용도 지역: 도시지역, 준공업지역
용도: 업무시설
대지면적: 989.00㎡
건축면적: 586.65㎡
연면적: 7,089.26㎡
건폐율: 59.32%
용적률: 415.42%
층수: 지상 14층, 지하 2층
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시공사: (주)성현이앤씨
건축주: (주)클리오

Map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66
건축가임재용
설계 담당김희동, 정인철, 박경은
일시2022년 11월 3일 3:00PM
위치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66
집합 장소입구
TOP LIST
Report 부암 북센터, 조성익(TRU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조성익 부암 북빌딩은 바다 출판사의 사무실과 동네서점을 겸한 신축 건물입니다. 소규모 사무실 건물에서 직원들이 서로 소통하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표로 촘촘히 구성된 공간과 오래된 책이 꽂혀있는 책장을 연상시키는 듯한 건축물의 외연은 출판사 사옥이라는 정체를 은근히 드러내는 듯 합니다. 조성익 교수와 함께 부암 북센터를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김성한 오픈하우스 진행: 김성한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는 한국 근현대 미술 문화 자료를 수집 및 연구하는 중요 시설이면서 시민들을 위한 지역문화의 중심시설입니다. 어반 리빙룸(Urban Livingroom)으로서 누구나 편하게 들어와서 시간을 보내고, 문화 활동을 통해서 문화자원이 공공화되고 활성화되는 플랫폼 역할을 하는 서울 시립 미술아카이브을 김성한 건축가의 소개로 만나보았습니다.
Report C3318, 이용의(공감 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이용의  <C3318>은 가족 간의 열린 공간과 가족 구성원 각각의 독립적 공간들이 공조하는 5층 주택입니다. 이용의 건축가와 가족과 집이 함께 성장하는 것의 가치를 얘기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동화고 삼각학교 + 동화고 어울림동, 나은중, 유소래 오픈하우스 진행:  나은중, 유소래 학교 건물의 전형을 깨고 과감한 삼각형 건물로 들어선 삼각학교는 삼각형의 중정으로 열린 내부공간을 만듭니다. 단순하지만 명확한 형태로 질서를 만드는 네임리스건축의 동화고 삼각학교+어울림동을 나은중, 유소래 소장님과 함께 만나보았습니다.
Report LG아트센터 서울, 안도 다다오+간삼건축 오픈하우스 진행: 김지인(LG 아트센터) 지난해 처음 문을 연 LG아트센터 서울은 안도 다다오가 설계했습니다. 노출콘크리트를 기반으로 엇갈린 박스와 공연장을 담은 원형 매스가 눈길을 끕니다. ‘튜브(TUBE)’, ‘스텝 아트리움(STEP ATRIUM)’, ‘게이트 아크(GATE ARC)’라는 독특한 공간은 공연을 기다리는 관람객에게 안정된 분위기와 부드러운 이동 동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LG아트센터 서울의 매혹적인 공간을 경험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김효영 건축사사무소 오픈스튜디오, 김효영(김효영 건축사사무소)
Report 구보건축 오픈스튜디오, 조윤희+홍지학(구보건축)
Report 푸하하하 프렌즈 오픈스튜디오, 윤한진+한승재+한양규(푸하하하프렌즈)
Report 클리오 사옥, 임재용((주)건축사사무소 OCA) 오픈하우스 진행: 임재용 색조 화장품 회사 클리오(CLIO) 사옥은 큰 규모의 테라스가 엇갈리게 적층되어 있어 멀리서도 그 존재감을 보여주며 다양한 도시 풍경에 일조를 합니다. 또한 이 테라스는 일터에서도 땅을 밟고 자연을 느끼게 하는 방법을 고민했던 임재용 건축가의 여정을 함께 공유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사진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