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7377 House

김우상 + 이대규

2019년 10월 12일 11:00AM
서울 강북구 삼양로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사진 _ fotografia y-Ta
사진 _ fotografia y-Ta
사진 _ fotografia y-Ta
사진 _ fotografia y-Ta
사진 _ fotografia y-Ta

 


* 10월3일오후2시부터참가신청가능


북한산 자락 아래 강북구 우이동의 골목길 안쪽,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는 낡은 주택을 증·개축 했다. 기존의 ‘붉은 벽돌집’에서 새로운 ‘붉은 벽돌집’으로 주재료를 정하면서 새롭지만 낯설지 않은 집을 짓겠다는 바람을 구체화하였다. 기존 건물과 같은 재료를 쓴다는 정서적 출발선에서 모든 치장을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내는 구축을 실행한 것이다. 덕분에 중정은 한 재료의 단단함과 빛과 하늘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동시에 119㎡(36평)의 작은 대지 안을 차지하고 있던 기존 건물의 유형적 경험은 주요한 공간 구성의 바탕이 되었다. 바닥의 높이가 제각각인 반지하 공간들과 그 위를 점유하는 1층으로 연결된 커다란 돌계단을 토대로, 과거와 형상은 다르지만 7개의 단위공간,  7개의 레벨, 7개의 계단 박스가 나열된 3개의 프로그램(주거2+상업1)이 채워진 공간이 되었다.
1975년에 지어진 집은 45년이 지나 예전 흔적을 담은 다른 모습이 되었지만, 외부와 바람이 통하고 내부에서는 시선이 통하며, 조용하고 온화한 동네에 차분한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다.

카인드건축 사진 fotografia y-Ta

 

카인드건축
www.kindarchitecture.com

카인드 건축
카인드 건축(KIND ARCHITECTURE)은 건축을 이루는 다양한 유형(스케일, 분위기, 경험)의 고민을 바탕으로 2016년 설립된 건축설계스튜디오다. 대표작으로 ‘7377 house’, ‘가평 Pier house’, ‘양평 Pool house’ 등이 있다.

김우상은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에서 수학 후, 뉴욕 메시 아키텍처(Mesh architecture), 건축사사무소 hANd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다. 이후 프로젝트팀 아틀리에 엠오티(atelier mot, 2012~2016)을 설립해 유형의 구축에 주목하였고, 현재 카인드 건축(2017~)을 설립 운영하고 있다.

이대규는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에서 수학 후, 뉴욕 메시 아키텍처(Mesh architecture) 및 현대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약 10년의 실무를 쌓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카인드 건축에 합류하여 다양성의 구체화를 함께 고민하고 있다.

Map서울 강북구 삼양로
건축가김우상 + 이대규
건축주왕화영, 이현준
일시2019년 10월 12일 11:00AM
위치서울 강북구 삼양로
집합 장소서울 강북구 삼양로141길 5 (황소익스프레스 앞)
TOP LIST
SPECIAL 가로골목, 김찬중 10월 12일 2:00PM
OPENHOUSE 옥인동 주택, 김원 10월 12일 2:00PM
OPENHOUSE 대한성공회 주교좌성당, 진행 _ 황두진 10월 12일 2:00PM
OPENSTUDIO 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 조남호 10월 12일 2:00PM
OPENHOUSE 솔로하우스, 김범준 10월 12일 1:00PM
OPENHOUSE 7377 House, 김우상 + 이대규 10월 12일 11:00AM
OPENHOUSE 구기동 주택, 조병수 + 이지현 + 윤자윤 10월 12일 10:00AM
OPENHOUSE 이슬람교서울중앙성원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서울중앙성원은 한국 정부의 배려와 이슬람 국가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1874년 착공, 1976년 개원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성원이다. 1층의 사무실과 대회의실, 2층의 남자 예배실, 3층의 여자 예배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부속건물로 이슬람센터가 있다. 높은 첨탑은 예배를 알리는 ‘아잔’을 낭송하는 곳이며, 건물 상단에는 녹색 글씨로 ‘알라후 악바르(신은 위대하다)’라는 아랍어가 쓰여 있다. 내부 예배실 천장의 돔을 통해 햇빛이 들어오며 붉은 카페트에 선이 그려져 서로의 어깨를 나란히 하고 예배를 드릴수 있도록 했다. 건축물 곳곳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 이슬람교와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글 OHS 사진    방문가능시간 10:30~17:00 * 강의 (이슬람에 대한 기초 지식 및 질의응답) – 월­화 제외, 평일 및 주말 10:30~ 17:00 / 금요일 15:00 ~ 17:00 – 최소 2주 전 예약 – 10인 이상 신청 가능 – 초등학교 6학년 이하 – 40분 강의 – 중학교 1학년 이상 ~ 성인의 경우 – 1시간 강의 – 담당자가 예약 확인 후 전화를 드리니 연락처 필히 기재 바랍니다. * 간단한 안내 (간단한 설명 및 시설 안내) – 휴무 없이 10:30 ~ 17:00 / 금요일 15:00 ~ 17:00 – 인원수 상관없음 – 10 ~ 15분소요 – 개별 신청 없이 바로 방문하여 직원에게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OPENHOUSE 번사창 번사창은 1884년(고종 21)에 건축된 기기국 무기고로, 1984년 해체, 보수공사 중 대들보에서 상량문이 발견되어 건물의 내력이 알려졌다. 조선 말기 군대의 근대화를 위해 근대화된 무기 제조와 군사훈련 제도를 마련하던 시기, 무기를 제작하던 기기국 소속의 무기고로 지어졌다. 검은 회색 벽돌로 벽을 쌓고 지붕은 맞배 지붕으로 올렸으며 문은 아치를 틀었다. 특히 건물에 붉은 벽돌로 견치형의 띠를 두르거나 측면문에 띠를 넣어 장식하였다. 벽돌과 목조 방식의 기붕이 결합한 독특한 건축 양식을 갖추고 있다. ‘번사’(飜莎)라는 말의 뜻은 흙으로 만든 주형에 금속용액을 부어 주조하는 것을 말한다. 일제시대 세균실험실로 쓰이다가 광복 후 중앙방역연구소, 정부 수립 후에는 국립사회복지연구원으로 쓰이다가 1970년 한국은행 소유로 되어 있으며, 1982년 서울유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일반인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최근 금융연수원 부지조사 중 번사창과 길이와 폭이 같은 ‘쌍둥이’ 건물 터가 발굴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진 서울시 역사문화재과 제공   참고문헌: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초판 2004., 5쇄 2009., 돌베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한국학중앙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