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현대카드 Travel Library, 카타야마 마사미치
[DIVE App]을 사용하시는 분은 누구나 4개 라이브러리(디자인/트래블/뮤직/쿠킹)방문이 가능합니다. (단, 주중만 가능)
경계의 장소, 여정의 시작
도시와 라이브러리의 경계를 넘는 순간, 이미 여정은 시작된다. 여행에 대한 트래블 라이브러리의 통찰은 공간에서도 그대로 투영되어 각기 다른 공간의 속에서 예상치 못한 발견을 이끌어낸다. 가장 먼저 시야를 압도하는 것은 장엄함 서가의 풍경이다. 마땅히 벽과 천장이 있어야 할 모든 자리를 대신한 서가는 태초의 생명력을 잃지 않은 듯 1층을 넘어 2층 천장까지 자라나며 책으로 쌓아 올린 자신만의 공간을 구축한다. 2층을 향해 트인 시야는 마치 피라네시가 그려낸 판화의 한 장면처럼 끊임없이 대각선으로 확장되어 간다. 현실의 공간 너머로 펼쳐지는 무한한 미지의 공간, 한 눈에 모든 것을 보여주지만 그 끝을 쉽게 가늠할 수 없는 이곳은 호기심으로 가득한 책의 동굴이다.
우연한 발견을 사유하고 확장하는 공간
역동적인 서가가 세워지면서 라이브러리 곳곳에는 자연스럽게 숨겨진 빈틈이 생겨났다. 새로운 여행의 테마와 정보로 가득한 서가의 틈새에서 자칫 버려질 뻔한 이 사각지대는 우연한 발견을 사유하고 확장하는 작은 공간들로 채워진다. 라이브러리의 계단이 공간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층층이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 낸다면, 이들은 서가의 코너를 돌 때마다 낯설고 이질적인 풍경으로 유기적인 여정을 이끌어낸다. 1층 서가의 빈틈은 아날로그 지도를 통해 도시를 발견하는 공간이다. 전 세계 국적기 미니어처들을 한곳에 모아 여행의 설렘을 발견하고, 도시가 지닌 모든 자원과 정보를 하나의 종이에 담은 지도는 단순히 도시의 구조를 이해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그 너머를 상상하게 한다. 지도를 통해 여행지를 발견했다면, 그곳에 이르는 구체적인 경로를 가늠해보는 공간도 있다. 2층 서가의 빈틈에서 마주한 거대한 푸른 지구는 버추얼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대카드 트래블 라이브러리의 추천 루트와 자신만의 여정을 실제로 경험(Play) 할 수 있는 장치다. 몇 걸음 더 옮기다 보면 다시금 새로운 서가의 빈틈을 발견하게 된다. 무엇이건 썼다 바로 지울 수 있는 화이트보드로 지금까지 발견한 새로운 목적지, 새로운 테마의 영감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여행을 계획(Plan)하는 셀프 플래닝의 장소다.
글 사진 현대카드 제공
참고기사
트래블 라이브러리 디자인한 카타야마
카타야마 마사미치
유니클로(UNIQLO) 소호 뉴욕 스토어와 일본의 베이프(A BATHING APE) 매장, 나이키(NIKE) 플래그쉽 스토어 등 수많은 프로젝트들을 통해 세계적인 건축 스튜디오로 인정받고 있는 원더월(Wonderwall Inc.)의 수장이자, 전통과 파격이 어우러진 크리에이티브 디자인의 거장
OPENHOUSE
현대카드 Cooking Library, 최욱
[DIVE App]을 사용하시는 분은 누구나 4개 라이브러리(디자인/트래블/뮤직/쿠킹)방문이 가능합니다. (단, 주중만 가능)
건축가는 화려한 건물군이 있는 도산공원 주변에 무뚝뚝한 건축물을 두고 싶었다고 한다. 사선 제한을 따라 건물의 외관은 계단식으로 꺽어내리고, 건물 내부는 각 층이 서로 바라볼 수 있도록 열린 공간을 두었다. 이 열린 공간을 중심으로 냄새, 소리, 부산한 움직임이 넘나들면서 증기가 오르고 오감을 자극하는 부엌 같은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현대카드는 이곳이 일차적으로는 요리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를 소개하는 곳이지만 도서관이자 미식의 즐거움을 한껏 누리게 해주는 레스토랑이며, 직접 요리 과정까지 체험하도록 돕는 친절한 주방을 만들고자 했다. 델리가 있는 1층, 2, 3층의 라이브러리, 그리고 쿠킹 클래스가 열리는 3, 4층의 주방과 테라스까지 입체적이고 공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4층의 그린하우스는 허브 가든과 함께, 옥상의 작은 온실로 꾸며져 도심 속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특별한 경험을 준다.
글 OHS 사진 신경섭
최욱
1963년생.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 건축대학(dottore in arch.)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macdowell colony (u.s.a.), Valparaiso foundation (spain)에서 펠로우쉽을 받았다. 현재 ONE O ONE architects의 대표이다. 2006년 베니스 비엔날레, 2007년 선전-홍콩 비엔날레에 초대되었으며 대표작으로 학고재 갤러리, 두가헌,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 등이 있다.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가 2013 DFAA(Design For Asia Awards)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으로 2014 김종성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원오원아키텍츠
http://101architects.com
OPENHOUSE
현대카드 Vinyl & Plastic, 서승모
날 것
음반을 둘러보며, 고르고, 선곡하고, 들어본다. 빵을 사고, 차를 마시며 사색한다. 이러한 도시적 행위가 이태원로에 날것으로 전달되어 활력이 되기를 원했으며, 파사드 계획에서는 투명성과 개방성에 대해 생각했다.
이태원은 고유의 활력이 느껴지는 시장 같은 날것의 분위기가 만연한 지역이다. 바이닐 & 플라스틱에서의 행위가 날 것으로 노출되기 위해서는 파사드의 존재감을 지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길이22.7m, 폭3.4m의 천창을 두어, 자연광이 종일 실내로 스며들도록 하고, 이로써 아카시 니할라니(Aakash Nihalani)의 그래픽과 내부가 밝게 보이도록 하여 길이 22.7m, 높이8m의 저철분 유리 커튼월의 투명성을 배가시켰다.
전면 높이 8m 중, 하단 2.5m를 끊고 유리를 들여 설치하여 입면 비례와 볼륨감을 조절했다. 유리를 지지하는 바(bar)는 폭 45mm로 채택하여 시각적 간섭을 최소화했다. 동시에 코르텐강으로 마감된 폭 2m, 높이 2.5m의 출입문 4짝이 자유롭게 열리는 총7.5m의 개구부는 내부로 자연스럽게 동선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뮤직 라이브러리와의 관련됨을 시사한다.
뮤직 라이브러리의 빈 공간에서 보이는 한남동 풍경과 바이닐 & 플라스틱에서의 음악을 듣고, 보고, 느끼고, 만지는 날것의 행위가 병치 되어 이태원로의 활력이 되기를 바란다.
글 서승모 사진 진효숙
서승모
1971년 일본 교토 출생으로, 경원대학교를 졸업하고 동경예술대학 건축학과에서 미술학 석사를 취득했다. 그 후 2년간 동 학교 비상근 강사였으며, 2004년 서울에서 독립했다. 이후, 2010년 사무소명을 사무소효자동으로 개칭하여 현재 주거, 호텔, 업무시설 등 다방면으로 설계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는 ‘Theory 플래그쉽 스토어 파사드 리노베이션’, ‘현대카드 바이닐 & 플라스틱 파사드 리노베이션’, ‘남해 613여관’ 등이 있다.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729.3m²
건축면적 408.58m²
연면적 2160.45m²
규모 지상6층, 지하1층
주차 13대
높이 17.5m
건폐율 56.02%
용적률 231.47%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
외부 마감 THK32 로이유리, THK1.6 코르텐강판
구조 설계 ㈜ 엘씨구조시스템
시공 ㈜ 계선
기계 설계 아이에코 ENG
전기 설계 아이에코 ENG IECO ENG.
설계 기간 2015.6~2016.2
시공 기간 2016.2~20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