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UDIO
판교 계수나무집, 조남호
건축주 부부 장인화, 박지현씨는 더운 여름날 사무실을 찾았다. 두 사람 모두 미술전공에 건축에 대한 관심이 많아 첫 만남에서부터 우리는 집 이야기 보다는 건축 이야기로 시작했다. 건축주와 건축가 사이에 건축이라고 하는 공유의 언어가 있고, 그 언어를 통해서 이야기 하는 상황, 마치 3인칭 시점에서 집을 이야기하는 상황이었다. 건축주는 35평에서 50평 면적에서 프로그램까지 꽤 넓은 선택지를 가지고 있었고, 당연히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구체적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설계 과정은 요구사항의 단순한 수행이 아니고, ‘어떤 집을 지을 것인가?’하는 근본적인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판교는 담을 둘 수 없는 지구단위계획으로 인해 패쇄적인 덩어리들의 집합체 같다. 이 집의 시작은 커뮤니티를 조장하는 마을과 집 사이에 공유 공간을 두는 일이 되었다. 담을 대신하는 적정 높이의 가벽 뒤에 사랑방과 가로 사이를 적절히 이어주는 테라스를 두었다. 가벽은 사랑방의 남측창이 도로와 바로 면하는 것을 가려주고, 테라스에 올라서면 길을 지나는 사람과 눈인사를 나눌 수 있다. 측면 정원 역시 공유의 가치를 담고 있다. 건축주와 우리는 이 정원이 사유화되기보다는 마을길에서 시각적으로 공유하는 공간으로 계획했다. 여기에 심겨지는 나무도 개인정원 스케일이 아닌 가로스케일로 고려하자는 의견이 반영됐다.
계수나무집은 중목구조와 경골목구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공간이다. 경골목구조 외벽과 더불어 중목구조로 이루어진 1층은 기둥과 보가 구조를 담당하기 때문에 벽은 자유롭다. 즉, 채워질 수도 있고 비워질 수도 있어서 긴 세월 뒤 벽의 위치를 바꾸는 평면의 변화가 가능하다. 1층은 창고 같은 공간이다. 주방과 식당, 거실이 구획 없이 통합되어 있으며, 화장실조차 분리되어 보이지 않도록 실린더 형태로, 주방도 커다란 아일랜드 하나로 통합해 벽으로부터 독립시켰다. 소파나 식탁의 위치는 고정적이지 않다. 지금도 가끔 방문할 때마다 위치가 바뀌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가구의 배치에 따라 공간의 쓰임과 느낌이 달라진다. 건축주의 의지대로 구성할 수 있으나, 소유하지 않는 공간이다.
건축주는 잠자는 시간 전후를 제외하곤 대부분의 생활이 일층에서 이루어진다. 잠시 눕거나 차를 마시기 위한 공간, 손님을 위해 사랑방을 두었다. 두 폭의 미닫이문이 거실과의 분리와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2층은 1층과 명확하게 대비되는 기능적인 공간이다. 안방과 드레스룸, 욕실, 미래의 아이를 위한 방, 심지어는 층간 오픈공간도 마치 실(室)처럼 복도를 중심으로 구획된 공간이다.
계수나무집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전통 기술의 지혜를 활용했다. 실린더를 포함해 1,2 층간 오픈된 공간은 2층의 다른 부분과 벽이나 유리로 막혀 있어 층간 에너지 관리에 유리하다. 오픈 공간의 최상부에 석빙고의 원리를 이용한 에어포켓을 두었다. 더운 공기가 모여있는 에어포켓은 열다이오드 현상으로 하부의 낮은 온도를 안정시킨다. 상부의 천창은 조금씩 더운 공기를 배출해낸다.
글 솔토지빈건축 조남호
사진 윤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