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Report POLY.M.UR 오픈스튜디오

김호민

김호민, POLY.M.UR 오픈스튜디오

폴리머 건축사사무소는 2007년 런던에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서울을 주 무대로 활동 중인 건축디자인 집단입니다. 건축 설계를 3대째 이어오고 있는 김호민 소장을 필두로 한 폴리머는 동대문 JW 메리어트 호텔, 용인 일레븐힐즈, 허니비라운지, DDP 키오스크, 한남용, 신사블루스 등을 통해 반복적인 패턴이나 시스템을 통한 설계를 실험해 왔습니다. 폴리머 건축사무소에서 제작한 설계모형과 사무소를 둘러보고, 참가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질문들과 생각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TOP LIST
Report Report 구산동도서관마을, 최재원 최재원, 구산동도서관마을 2015년에 개관한 구산동도서관마을은 서울의 평범한 다가구주택과 단독주택을 도서관으로 변환하면서, 골목을 도서관의 공용공간으로, 미로처럼 얽힌 기존 방을 그대로 활용합니다. 기존 도시 조직을 그대로 반영한 독특한 구성은 공공건축이 평범한 일상의 공간을 어떻게 전환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대표적인 도서관마을을 최재원 건축가와 함께 만나보았습니다. 이강석 작가님의 사진으로 현장을 생생한 현장을 느껴보세요. 사진_이강석
Report Report 삼청로 140-1, 무명 무명, 삼청로140-1 오픈하우스 진행 김기석 디자이너, 김희정 큐레이터 1957년에 지어진 삼청로 140-1는 2층 목조주택으로, 대들보에 기록된 ’정유년(1957)’, 현관 바닥의 ‘1971.4’,  콘크리트 ‘1983.11’ 등 곳곳의 숫자를 통해 이 집의 지난 시간을 유추하게 합니다. 여러 차례 개조되고 수리되며 집으로 쓰인 공간을 공간 디자이너 김기석(공간의 기호들)이 리노베이션을 진행하면서 신다인 작가, 이예하(yiyeha), 건축 큐레이팅 콜렉티브 그룹 CAC가 자리잡은 새로운 문화 기지로 자리잡을 예정입니다. 김기석 디자이너와 김희정 큐레이터의 가이드로 리모델링 과정과 앞으로 쓰일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이강석 작가님의 사진으로 함께 만나보세요. 사진_이강석  
Report Report POLY.M.UR 오픈스튜디오, 김호민 김호민, POLY.M.UR 오픈스튜디오 폴리머 건축사사무소는 2007년 런던에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서울을 주 무대로 활동 중인 건축디자인 집단입니다. 건축 설계를 3대째 이어오고 있는 김호민 소장을 필두로 한 폴리머는 동대문 JW 메리어트 호텔, 용인 일레븐힐즈, 허니비라운지, DDP 키오스크, 한남용, 신사블루스 등을 통해 반복적인 패턴이나 시스템을 통한 설계를 실험해 왔습니다. 폴리머 건축사무소에서 제작한 설계모형과 사무소를 둘러보고, 참가자분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질문들과 생각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Report Report 대상 이노파크, 최욱 최욱, 대상 이노파크 오픈하우스 진행 황선영 (원오원아키텍스) 이중 파사드를 사용한 섬세한 건물 외관은 건물의 덩어리감을 없앱니다. 2개층 높이로 열린 84m 길이의 저층부와 중정은 연구 센터에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폐쇄성이 강한 기업 연구소의 성격을 벗어나기 위해 주변에 연계한 개방적인 저층부는 공공성에 대한 건축가의 고민을 보여줍니다. 원오원아키텍스 황선영 소장님의 생생한 설명으로 수직 동선과 과장 없이 드러낸 구조를 경험해볼 수 있었습니다. 이강석 작가님의 사진으로 함께 만나보세요. 사진_이강석
Report Report 망우 119안전센터, 유종수, 김빈 유종수, 김빈, 망우 119안전센터 소방서는 기능을 위한 시설이지만, 소방관이 휴식과 훈련을 위한 기지이자 도시의 풍경을 만드는 공공건축물입니다. 출동 동선 최소하하기, 소방관들을 위한 휴식시설 확보. 이 두가지 요구는 공공 건축의 공공성과는 조금 다른 접근이 필요했다고 합니다. 119안전센터에 필요한 기능을 담되 획일적인 디자인을 벗어나는 건축 형태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Report Report 정릉주택 & 지하서재, 조남호 조남호, 정릉주택 & 지하서재 정릉주택 & 지하서재는 3대를 위한 2가구와 함께 운영할 카페와 펍을 모두 담았습니다. 건물의 규모는 작지만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구분하기 위해 외벽에서는 마감재를 달리하고, 내부에서는 주거의 편안함과 카페의 개성을 담고 있습니다. 주거하는 사람에게 최적의 공간을 만든 조남호 건축가와 작은 집의 해법을 만나보았습니다.
Report Report 대양역사관, 스티븐 홀+이인호 스티븐 홀+이인호, 대양역사관 오랜만에 다시 문을 여는 대양역사관은 성북동의 고즈넉한 풍경에 앉아 노출콘크리트와 부식된 동 패널 대문의 조형성, 흐르는 내부 공간과 하이라이트 처럼 펼쳐지는 수공간 위 매스들로 이어집니다. 스티븐 홀의 건축 정수를 보여주는 이 공간은 완성도 높은 공간 미학을 보여줍니다. 이인호 소장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진행된 대양역사관 오픈하우스의 현장을 이강석 작가님의 사진으로 만나보세요.  사진_이강석
Report Report 코오롱 원앤온리타워, 모포시스+해안건축 모포시스+해안건축, 코오롱 원앤온리타워  오픈하우스 진행 임성범 (모포시스 한국지사장) 모포시스의 역동적인 공간 구성이 돋보이는 코오롱 원앤온리타워는 연구시설, 임원실, 소통을 위한 공간으로 올해 처음 공개됩니다. 특히 높이 30m, 길이 100m에 달하는 역동적인 아트리움은 이들을 통합하는 커뮤니티 역할을 합니다. 직물의 직조를 연상시키는 외관 패턴과 내부의 강렬한 방향성은 모포시스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임성범 모포시스 한국지사장님의 가이드로 진행된 오픈하우스 현장을 이강석 작가님의 사진으로 만나보세요. 사진_이강석
Report Report 당인리 포디움과 프롬나드, 조민석 조민석, 당인리 포디움과 프롬나드 멈춰선 당인리 화력발전소를 문화공간으로 바꾸는 <당인리 포디움과 프롬나드>는 한강을 마주하는 산업 유산의 무한한 가능성을 주목하고 제안합니다. 기존 구조물과 새로 조성되는 새 공간의 시각적, 경험적인 명쾌한 구분이 새로 조성될 당인리 포디움을 기대하게 합니다. 내년 공사를 앞두고 당인리 화력발전소의 마지막 모습을 볼 수 있는 이번 오픈하우스는 조민석 건축가의 해석과 접근을 들으며 산업 유산의 현장을 경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이강석 작가님의 사진으로 그 현장을 만나보세요. 사진_이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