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세계장신구박물관, 김승회
서울의 북촌은 조선시대로부터 오늘날까지 이르는 시간의 깊이가 빚어내는 장소이다. 시간이 박혀있는 도시에 설계를 한다는 일이 결국 시간과 관계를 맺는 일이라면 북촌의 세계장신구박물관 설계 역시 서로 다른 시간을 하나의 장소 안에서 조작하는 일이다. 북촌의 한적한 골목에 자리한 2층 양옥을 고쳐 장신구 박물관으로 만드는 일은 북촌이라는 오래된 풍경과 장신구라는 아름다운 전시물이 건축물을 매개로 만나게 하는 즐거운 작업이었다.
장신구박물관이 의식해야 하는 시간의 성좌는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졌는데 하나는 북촌이 이루는 켜이고 또 하나는 세계 곳곳에서 모인 장신구들이 발산하는 켜이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아메리카 등 서로 다른 공간과 시간을 지닌 장신구들이 마치 기적처럼 한 장소에 모여 있으며 새로운 시간의 무늬를 만들어낸다. 기존 주택을 리노베이션하여 새로운 박물관으로 만들면서 각각의 장신구들이 그에 어울리는 방식으로 전시되는 것이 과제였는데, 그것은 각각의 공간이 연속되어 있으면서도 개별성을 지녀야 함을 의미했다. 다행히 기존 주택이 지닌 공간의 구조는 장신구를 전시하기에 불편하지 않았다.
각각의 분절된 공간마다 독립된 주제를 지닌 장신구가 전시되어야 했으므로 각각의 공간은 고유한 특징을 지니도록 배려했다. 각각의 전시공간은 ‘정원’, ‘숲’, ‘엘도라도’, ‘십자가’ 등의 주제를 지니면서 차이를 만들어내었다. 공간의 크기와 재료, 빛과 촉감 등 여러 방식을 통해 전시 관람 시간을 분절하고 또 이어주었다. 그 결과 작은 공간이지만 관람객은 많은 공간의 주름과 시간의 켜와 경험의 단층을 누리게 되었다.
북촌의 시간과 공간이 지닌 중요한 특징이 각각이 지니고 있는 스케일이라면 북촌에 놓인 집 역시도 그 작은 스케일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주택에 새로운 외피를 붙여나가면서 그 볼륨이 지니는 분절들에 고유한 재료를 부여하면서 매스와 재료의 스케일을 획득했다. 그리하여 동판과 적삼목, 유리와 철이 서로 만나면서 각각의 재료가 지는 시간과 공간을 증거하며 ‘하찮은 작은 것’들이 모여 만들어진 ‘의미있는 북촌 풍경’의 일부가 되었다. 세계장신구박물관은 성좌와 같은 도시 공간 안에 놓여 있으면서, 다시 그 집속으로 장신구가 이루어내는 새로운 성좌를 품고 있는, 작은 시간이자 작은 공간이다.
글 김승회 사진 강일민
OPENSTUDIO
합정동 작업실, 김기라
임대료가 지금처럼 치솟기 전, 과거 상수동, 합정동은 꿈을 꾸는 예술가들로 성황이었다. 2015년 헌재 많은 작가들이 금전적 문제로 홍대앞, 합정동을 떠났지만, 김기라는 8년째 이곳을 지키고 있다. 그는 홍대앞, 합정동 등이 작업실 꽃을 피운 마지막 시기를 산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는 40대 작가다. 김기라의 작업 영역은 넓다. 관심사도 다양하고, 다방면으로 뛰어난 재주에 유쾌한 성격까지 더해져 그의 작업실에는 수많은 재미난 정보들로 넘쳐난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개최중인 <올해의 작가 2015> 전시에 출품한 김기라의 작업을 보고 오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김기라(Kim Kira, 1974년생)는 경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환격조각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영국 런던 골드미스컬리지에서 파인아트로 석사를 받았다. 김기라는 회화, 설치, 영상 등 시각예술 전반에 걸친 다양한 예술활동을 하며, 올해에는 젊은 힙합 뮤지션들과 음반도 제작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선정하는 <올해의 작가 2015>에 노미네이트 되어 현재 서울관에서 전시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