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0월 16일 3:00PM 서울 서초구 사임당로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
* 10월 3일 오후2시부터 참가 신청 가능
서리풀이
서초동은 과거 서리풀이 무성한 곳이라 하여 ‘서리풀이’, ‘상초리(霜草里)’라고 불렀던 데서 유래되었다. 우면산 물이 이리저리 서리어 흐르고, 서울 교대에서 동쪽 경부고속도로에 이르는 부근에 있었으며, 장마가 지면 마을 어귀까지 물이 끼어 서리곤 했다고 한다. 부지는 이곳 인근에 있다. 강남의 많은 지역이 아파트로 재건축되거나 다세대, 다가구 촌이 되었지만, 큰길 안쪽 언덕에 자리 잡다 보니 변화로부터 비켜날 수 있었다. 주변은 비교적 단독주택으로 정온한 마을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생각의 상자 쌓기
주택은 작은 도시, 도시는 큰 주택이다. 주택은 도시를 구성하는 건축물 중에서 가장 작은 단위이고 비교적 단순한 구성이지만, 동시에 그것은 하나의 도시일 수도 있고 소우주일 수도 있다. 가치를 공유하는 단위들이 모여 동네가 되고, 동네가 모여 도시가 된다. 좋은 도시는 대형건축이 아니라 잘 만들어진 중소규모 건축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건축주는 첫 미팅에서 골판지를 이용해 층별로 분리된 모형을 만들어와 자기 생각을 설명했는데, 그것은 마치 생각을 수평적으로 배열하고 수직으로 쌓아 올린 것 같았다. 말이 사물이라고 생각한다면 블록처럼 쌓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집에 대한 선입견을 배제한 채 과거의 삶과 미래에 대한 구상을 바탕으로 남편과 아내, 아들 각각 독립적인 영역이 담겨있는 내용이었다.
가족의 영역을 구분하고 관계의 밀도를 섬세하게 조정하는 과정으로 설계는 진행되었다. 분리된 세 사람의 영역은 물 흐르듯 연속된다. 일반적으로 집의 중심을 이루는 거실은 없다. 거실이 수행하던 다목적 기능은 분리되어 손님을 맞이하는 식당, 음악감상이나 연주를 위한 홀과 서재, 등으로 재편되었다. 이렇게 분리되거나 연결된 공간들이 배열되고 적층되어 집이 되고, 마을을 이루는 단위가 된다.
콘크리트와 목구조 공간 특성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흔히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고 알고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형태든 기능이든 각각의 고유한 힘을 가지고 있으며, 반대로 형태가 기능 또는 삶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서리풀나무집은 철근콘크리트조와 목구조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건축이다. 하이브리드 공간은 향후 가변적 공간 구조와 더불어 재료와 구축적 공간이 이루고 고유한 특성을 경험하게 된다.
만드는 것은 건축가의 영역이지만 건축주가 공간의 변화에 개입할 여지를 남겨두었다. 집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가정해 보고 건축가는 ‘느슨한 질서’를 만든다. 미래의 공간 활용에서 건축주의 의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남겨두었다. 우리는 이렇게 만들어진 집과 짓는 과정, 삶을 일컬어 ‘깃듦의 건축’으로 정의했다.
글 조남호 사진 윤준환
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
솔토지빈건축(건축가 조남호)은 1995년 시작한 이래 역사로부터 배운 건축의 질서에 현대의 다양한 양상을 접목해 새로운 건축 유형으로 융합하는 작업을 해왔다. 특히, 솔토지빈의 목조건축 작업은 전통에서 익힌 기예를 바탕으로 도시의 물리적 환경과 프로그램과 교류하며 단독주택에서 공공시설과 공동주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업으로 이어진다. 목재는 강인하면서도 유연한 특성으로 인해 현대도시건축에서 새로운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오래된 그리고 새로운 재료이다. 미래 도시 건축의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주거건축에서는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작업으로 구분된다. 살구나무집과 계수나무집은 너무나 다양해져 혼란스러운 단독주택에 대응해 동네 풍경에 어울리는 보편적 가치를 실험하고 있다. 2018년 국제현상공모를 통해 당선된 ‘구릉지 풍경, 백사마을’ 프로젝트는 달동네의 경관과 공동체의 삶을 지속하기 위한 현상학적 관점의 ‘풍경으로서의 건축’을 제안하고 있다.
Map | 서울 서초구 사임당로 |
---|---|
건축가 | 조남호 |
건축주 | 조현 |
일시 | 2019년 10월 16일 3:00PM |
위치 | 서울 서초구 사임당로 |
집합 장소 | 서울 서초구 사임당로23길 27 (삼성금융캠퍼스 정문 앞 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