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김수근 설계’고석공간’공개… 건축축제 ‘오픈하우스서울’ 29일부터

한겨레

오픈하우스서울 2022가 한겨레에 소개되었습니다.
김경애 기자님의 기사입니다.

링크 바로가기 > 김수근 설계’고석공간’공개… 건축축제 ‘오픈하우스서울’ 29일부터
 

TOP LIST
Report 유명 건축물·도시의 ‘속살’을 들여다보다···‘오픈하우스서울 2022’, 경향신문 오픈하우스서울 2022가 경향신문에 소개되었습니다. 도재기 기자님의 기사입니다. 링크 바로가기 > 유명 건축물·도시의 ‘속살’을 들여다보다···‘오픈하우스서울 2022’
Report 김수근 설계’고석공간’공개… 건축축제 ‘오픈하우스서울’ 29일부터, 한겨레 오픈하우스서울 2022가 한겨레에 소개되었습니다. 김경애 기자님의 기사입니다. 링크 바로가기 > 김수근 설계’고석공간’공개… 건축축제 ‘오픈하우스서울’ 29일부터  
Report 김수근의 마지막 주택 설계 '고석공간' 첫 공개···오픈하우스서울, 연합뉴스 오픈하우스서울 2022가 연합뉴스에 소개되었습니다. 황희경 기자님의 기사입니다. 링크 바로가기 > 김수근의 마지막 주택 설계 '고석공간' 첫 공개…오픈하우스서울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전쟁기념관, 이성관 10월 13일 3:00PM
COLLABORATION 정림건축문화재단 정림건축문화재단 정림건축문화재단은 한국 건축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과 건축문화의 저변 확대를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건축문화의 균형 있는 매개자로서 건축·문화·예술계와 폭넓게 협력하며 미디어, 교육, 공동체주거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인 건축가 초대석 <등장하는 건축가들>, 중견 건축가 심층 인터뷰 <중간점검>, 공공건축 당선작의 실현과 운영을 살피는 <당선작들 안녕하십니까>, 건축 분야 북토크 프로그램 <원맨원북> 등의 상설 포럼을 비롯하여, ‘건축을 통한 교육’이라는 모토로 어린이와 청소년의 건축적 사고를 돕는 <건축학교>와 건축 전시 실무를 교육하는 <건축큐레이팅워크숍>, 근미래 한국의 도시와 건축을 대학생들과 함께 그려보는 <정림학생건축상>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되는 모든 경험과 지식을 <건축신문>으로 기록하여 공유하고 있습니다.   재단 홈페이지  http://junglim.org 건축신문  http://architecture-newspaper.com 건축학교  http://archschool.org 포럼시리즈  http://forumnforum.com 정림학생건축상  http://junglimaward.com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성수책마루-성동구 의회랑-성동책마루, 김태영, 김현준, 장수정 10월 12일 2:00PM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이성관 10월 11일 3:00PM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용산과 용산공원, 바로 읽기, 안창모 10월 10일 4:00PM
OPENHOUSE 한남뜨락, 천장환 서울의 중심부와 한강 이남을 연결하는 한남1고가차도는 서울의 주요 교통축으로서 행정구역상 하나인 한남동을 반으로 나누어 양쪽에 전혀 다른 분위기의 동네가 자리 잡도록 만들었다. 다양한 문화와 즐길 거리가 널린 이태원의 거리는 남산을 바로 앞에 두어 녹지가 많아 보이지만 막상 보행자가 돈을 내지 않고 앉아서 즐길 열린 공공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고 고가하부에서 이태원의 가로 체계 흐름이 단절되어 이곳은 사람들이 찾지 않는 삭막한 공간이 되었다.  멀리서 바라보기만 하는 남산을 끌어와 쏟아지는 햇빛을 받으며 남산의 숲속을 걷는 듯한 경험을 만들기 위해 자연을 추상화한 꽃잎 모양 구조물 9개를 설치하고 여러 방향의 보행로에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흘러들도록 하였다. 주변 블루스퀘어와 가까운 곳에 카페랑 화장실을 만들고 외부에 자유롭게 앉을 수 있는 외부공간을 많이 만들어서 서로 즐겁게 소통하는 생동하는 도시공간이 되기를 기대했다. 6m 지름의 날개로 이루어진 꽃잎 모양 구조물은 척박한 환경의 고가하부에 자연을 끌어오기 위해 추상화된 ‘인공의 자연’이다. 구조물 사이로 빛나는 LED 조명은 사람들에게 낮에는 햇빛이 나뭇잎 사이로 쏟아지는 숲을 거니는 느낌을 주고, 밤에는 별빛이 쏟아지는 들판을 거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약 15평의 카페 공간은 꽃잎 모양 구조물과 같은 6각형의 투명한 유리 박스로 되어 있다. 이곳은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거나 지나가는 보행객들에 잠시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기존 지형을 극복하기 위해 만든 건물 하부 계단은 기다림, 만남, 휴식 또는 버스킹 등의 공간으로 사용된다. 배의 난간을 닮은 계단의 난간은 한남대로를 지나는 차들을 보며 마치 막 출항하는 배 위에 홀로 올라탄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글 천장환 사진 신경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