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P 디자인뮤지엄 개관기획전 연계 강연

<위기 시대, 사회적 돌봄과 공간 변화>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

“문화인류학자와 건축가가 만나 
  위기 시대, 뉴노멀의 과 공간을 이야기합니다.” 

 

집, 학교, 돌봄, 공적 공간 

코로나-19는 경제, 정치, 사회, 문화뿐 아니라 사회 규범과 라이프스타일, 젠더의 역할까지 광범위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전제로 일상이 작동하지만, 더는 누릴 수 없는 경험과 닫힌 공간은 생활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위기로 촉발된 이 난감한 시대에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무엇을 살펴야 할지 질문을 던져봅니다. 

 

팬데믹 이후 사회적 거리 두기를 전제로 일상이 작동하지만, 우리의 삶 전반에는 조용한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도시 공간의 사용 방식과 해석이 달라지고, 공간에 대한 가치도 변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사람들의 만남은 줄었지만, 거리를 뛰어넘는 온라인 연결은 네트워크를 새로운 방식으로 확장하기도 합니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공간의 가치도 변화합니다.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학교의 의미도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전례 없는 상황의 사각지대에서 사회 안전망도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위기 상황에서 돌봄의 영역을 여성에게 전담하는 암묵적인 동의도 작동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돌봄이 공적인 영역에서 재편되어야 할 필요성을 말해줍니다. 

물리적인 공간의 쓰임과 사회적 관계 모두 재편되는 시기에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서울디자인재단은 8월 13일 오후 2시, 조한혜정 교수와 유현준 교수를 모시고 ‘위기 시대, 사회적 돌봄과 공간 변화’라는 주제의 강연을 진행합니다.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을 탐색하는 이 강연은 오는 12월 디자인뮤지엄 개관을 앞두고 준비 중인 개관특별전 <우먼 인 디자인(가칭)>의 연계 강연으로 마련되었습니다. 이번 강연은 위기로 촉발된 난감한 시대에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우리가 무엇을 함께 살펴야 할지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강연 1. 조한혜정 교수 (20분) 
강연 2. 유현준 교수 (20분)   
대담 및 질의응답 조한혜정 x 유현준 교수 (30분) 

모더레이터_임진영(오픈하우스서울)

일시 : 2020.08.13 (수요일) 오후 2시 
유튜브 '디디피 서울' 채널에서 생중계
www.youtube.com/user/ddpseoul
주최 : 서울디자인재단, DDP 디자인 뮤지엄
주관 : 오픈하우스서울



 



강연소개


“더이상 집은 소통의 공간이 아니에요.
  집을 넘어선 공적 공동체를 위한 공간은 가능할까요?”

조한혜정 교수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집과 일상은 어떻게 변했을지, 집은 과연 소통의 공간인지 질문을 던집니다. 그리고 코로나 19 이후 잠시 멈춘 사이 우리 스스로 거주하는 집에 대해 발견하는 상황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이미 소통과 돌봄의 역할이 사라진 집을 넘어선 새로운 방식의 공적 공동체는 어떻게 가능할지, 그간 발언해온 사회적 돌봄의 연장선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사회적 공간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예정입니다. 
 

“학교는 지식전달의 역할, 탁아소의 기능, 공동체 훈련을 위한 곳이었죠. 
  이제 학교가 해체되면 전통적인 집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거예요.”

유현준 교수는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으로 집의 전통적인 기능과 학교의 역할이 달라지고 있음을 주목합니다. 발코니, 마당, 옥상 등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요소가 다시 부각되면서 집의 공간도 달라질 것입니다. 지식전달의 역할, 탁아소의 기능, 공동체 훈련의 역할을 해 온 학교가 달라지면서, 이에 따라 거주 역시 유동적으로 바뀔지도 모릅니다. 학교의 기능이 달라지면 결국 기존에 학교가 가졌던 돌봄의 역할은 어떻게 바뀔까요? 또 누가 어디서 그 역할을 담아낼 수 있을까요? 우리의 공간은 또 어떻게 바뀔까요?

 

“우리에게는 소통과 성장을 위한 마을이 필요해요. 이를 담아내기 위해 시설이나 자산화한 공간이 아니라, 열린 공간, 자율적인 공간이 필요해요.”

“사실 저같은 사람은 공동체와 맞지 않아요. 아직은 익명성을 가지고 싶죠. 아직 젊어서일 수도 있어요. 공동체는 세대별로 나누어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조한혜정 교수와 유현준 교수의 강연 후 대담에서는 돌봄에 대한 사회적 대응과 이를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공 공간은 어떻게 가능할지, 아울러 공동체에 대한 세대 간의 다른 시선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입니다.

서울디자인재단은 ‘동시대의 마을’을 통해 사회적 돌봄의 확장을 말해 온 조한혜정 교수와 도시 공간 구조의 재편과 학교와 같은 교육 시설 개혁에 대해 발언해온 유현준 교수와 함께, 이 변화의 중심에 놓인 집과 학교의 공간과 그 의미에 대해, 나아가 삶의 공간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해 함께 생각해볼 기회를 만들고자 합니다. 

 


조한혜정 

1세대 여성 운동가이자 문화인류학자인 조한혜정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는 피난민이 모여 살던 부산에서 태어나 공동체의 돌봄과 서로의 존재를 축복해주는 경험을 통해 성장한다. 1세대 여성주의적 공론의 장을 열고, 대안 교육의 새로운 장을 탐구하며 ‘하자센터’를 설립했으며, 학교에서 마을까지 서로를 돌보는 ‘동시대의 마을’을 통해 인류의 미래에 대한 실천적 담론을 만들어오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여성과 남성》 《탈식민지 시대의 글 읽기와 삶 읽기 1~3권》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다시 마을이다》 《자공공: 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 《선망국의 시간》 등을 썼다. 

유현준 

유현준은 건축가로 도시와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으로 도시와 건축, 그리고 사람을 잇는 글을 선보이고 있다. 공공 영역에 놓인 제도에 대한 강한 비판으로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과 도시의 공적 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목소리를 내어 왔다. 

유현준건축사사무소(Hyunjoon Yoo Architects), 스페이스컨설팅그룹(Space Consulting Group)의 대표 건축사로, 연세대학교에서 학사를, MIT에서 건축설계 석사(M.Arch)를 마쳤으며, 하버드대학교 건축설계 석사 우등졸업(M.Arch with Distinction)을 하였다. 이후 리처드 마이어 사무소(Richard Meier & Partners Architects)에서 실무 경력을 쌓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머그학동(Mug Hakdong), 압해도 복지회관(The Void) 등이 있으며, Chicago Athenaeum Architecture Award, German Design Award 등 30여 차례가 넘는 국내외 건축상을 받았다. <tvN 알쓸신잡 시즌 2>, <KBS 명견만리> 등 다양한 방송 출연과 《공간이 만든 공간>》 《어디서 살 것인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모더니즘: 동서양 문화의 하이브리드》 등 7권의 저서가 있다. 

TOP LIST
OPENHOUSE 비짓유어셀프 함께 모이지 못하지만, 개별 방문 가능한 건축물을 소개합니다. 도시 곳곳의 건축물을 찾아 나만의 조용한 도시 탐색을 추천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안내된 내용이 수시로 달라질 수 있으니, 안내된 웹사이트에서 방문 가능한 시간을 한번 더 확인해주세요.   태양의 집 / 김중업 문화비축기지 / 허서구, 백상진, 김경도 평화문화진지 / 유종수 + 김빈 세운상가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설계 / 김택빈, 장용순, 이상구 아트벙커 B39, 김광수 코스모 40 / 양수인, 임승모 약현성당, E. 코스트 신부 대한성공회 주교좌성당 서소문 역사공원 및 성지 역사박물관 / 윤승현, 이규상, 우준승 한국정교회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 조창한 가회동 백인제 가옥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 최욱 현대카드 Vinyl & Plastic / 서승모 현대카드 Cooking Library / 최욱 현대카드 Travel Library / 카타야마 마사미치 현대카드 Music Library / 최문규 수락행복발전소 / 장윤규, 신창훈 누하동 이상범 가옥과 화실 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 / 조진만 필운동 홍건익 가옥 백남준 기념관 / 최욱 계동 배렴가옥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 최욱 세운베이스먼트, 이충기 PLACE 1, 김찬중 선벽원 (善甓苑), 이충기 한내 지혜의 숲 / 장윤규, 신창훈 유유제약 안양공장 / 김중업 올림픽 세계평화의 문 / 김중업  
OPENHOUSE 기획, 소유, 거래의 방식, 오픈하우스서울 x 이강석작업실 “어떻게 ‘살’ 것인가”   집에 대한 생각, 기준, 가치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가족의 의미가 변화하고, 가족 기본 구성원 및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화하면서 우리는 자연스레 삶의 주거 방식을 고민하는 새로운 시도를 목격하게 됩니다.  집을 '사는 법'도 변해가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을 투자의 대상으로 삼는 기존 방식과는 다른 다양한 시도들이 많아지는 것이 주목할만한 변화입니다. 선택지가 풍성해지는 덕분일까요? 우리의 고민도 깊어만 갑니다. “나는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가” 같은 고민 말입니다.  <오픈하우스서울 2020>은 유례 없는 뉴노멀의 시대와 마주하고 있는 지금, 주어진 현실과 공간에 나를 맞추는 것이 아닌, 새로운 공간을 발견하고 삶의 방식을 적극적으로 개척해 나가는 사람들을 만나보고자 합니다. 그들이 지금 생각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이런 새로운 시도들이 앞으로의 서울의 주거 풍경을 어떻게 변화시킬까요? 집에 대한 바람이 다양해지면 집을 다루는 시장과 플랫폼도 달라질까요?  글 최진이(오픈하우스서울 오거나이저)   영상ㅣ 집을 기획하다 / 서울·소셜·스탠다드(삼시옷)_ 김하나, 김민철 대표 영상ㅣ 공간 발굴, 그리고 탐색  / 초현실부동산_ 박성진, 이진오 공동대표 영상ㅣ 세컨드하우스의 공유 / 강미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영상ㅣ 색다른 부동산 거래  / 별집 공인중개사사무소_ 전명희 대표 
DDP 5주년 기념 SPECIAL TOUR <위기 시대, 사회적 돌봄과 공간 변화>,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 “문화인류학자와 건축가가 만나    위기 시대, 뉴노멀의 과 공간을 이야기합니다.”    집, 학교, 돌봄, 공적 공간  코로나-19는 경제, 정치, 사회, 문화뿐 아니라 사회 규범과 라이프스타일, 젠더의 역할까지 광범위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전제로 일상이 작동하지만, 더는 누릴 수 없는 경험과 닫힌 공간은 생활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위기로 촉발된 이 난감한 시대에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무엇을 살펴야 할지 질문을 던져봅니다.    팬데믹 이후 사회적 거리 두기를 전제로 일상이 작동하지만, 우리의 삶 전반에는 조용한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도시 공간의 사용 방식과 해석이 달라지고, 공간에 대한 가치도 변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사람들의 만남은 줄었지만, 거리를 뛰어넘는 온라인 연결은 네트워크를 새로운 방식으로 확장하기도 합니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공간의 가치도 변화합니다.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학교의 의미도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전례 없는 상황의 사각지대에서 사회 안전망도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위기 상황에서 돌봄의 영역을 여성에게 전담하는 암묵적인 동의도 작동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돌봄이 공적인 영역에서 재편되어야 할 필요성을 말해줍니다.  물리적인 공간의 쓰임과 사회적 관계 모두 재편되는 시기에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서울디자인재단은 8월 13일 오후 2시, 조한혜정 교수와 유현준 교수를 모시고 ‘위기 시대, 사회적 돌봄과 공간 변화’라는 주제의 강연을 진행합니다.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을 탐색하는 이 강연은 오는 12월 디자인뮤지엄 개관을 앞두고 준비 중인 개관특별전 <우먼 인 디자인(가칭)>의 연계 강연으로 마련되었습니다. 이번 강연은 위기로 촉발된 난감한 시대에 뉴노멀의 라이프스타일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우리가 무엇을 함께 살펴야 할지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강연 1. 조한혜정 교수 (20분)  강연 2. 유현준 교수 (20분)    대담 및 질의응답 조한혜정 x 유현준 교수 (30분)  모더레이터_임진영(오픈하우스서울) 일시 : 2020.08.13 (수요일) 오후 2시  유튜브 '디디피 서울' 채널에서 생중계 www.youtube.com/user/ddpseoul 주최 : 서울디자인재단, DDP 디자인 뮤지엄 주관 : 오픈하우스서울  
COLLABORATION (주)인크레더블 인크레더블 주식회사   대표이사 진현기  
DDP 5주년 기념 SPECIAL TOUR 도시 전략, 접점을 확장하다, 서울디자인재단+오픈하우스서울 12월 13일 3:00PM
Report OPENHOUSE Seoul 2019_Report   오픈하우스서울 2019의 모든 프로그램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오픈하우스서울 2019>는 올해 탄탄한 진행을 이끈 사무국 총괄 최진이 운영위원, 김지원 사무국장, 강언덕, 이다미 코디네이터, 이소영, 박서인 님이 함께 하셨습니다. 올해도 최춘웅, 황지은, 김형진, 염상훈, 김상호, 임여진 운영위원께서 늘 든든한 기획으로 참여해주셨습니다. 현장의 생생한 기록은 이강석 사진작가님의 사진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의 길잡이가 되어 주신 올해의 진행요원의 열정에 감사드립니다. 사무국을 위해 아키라이프의 멋진 공간을 내어주신 김용관 사진작가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무엇보다 좋은 공간을 열어주신 건축주, 건축에 생생한 의미를 전달해주신 건축가분들께 감사를 전합니다. 또한 <오픈하우스서울>의 포스터, 가이드북, 굿즈 디자인을 진행해주신 워크룸 김형진, 황석원 디자이너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오픈하우스서울>은 서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더 좋은 프로그램으로 함께 할 수있도록 현장의 감동을 나누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내년 시월에 만나요!
Report OPENHOUSE Seoul 2019_Report   많은 분들의 성원과 격려로 올해의 오픈하우스서울도 무사히 마무리하였습니다. 좀 더 나은 콘텐츠와 운영을 위해 참여하신 분들께 설문지를 부탁드렸는데요. 참여자 중 총 252분이 참여해주셨어요! 보내주신 응원과 지지에 감사드리며,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는 오픈하우스서울이 되겠습니다.   [오픈하우스서울 2019 참여자 대상 설문조사] 오픈하우스서울 2019 프로그램은 어떠셨나요? 아래의 간단한 설문조사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후기와 개선점을 알려주세요! 설문조사는 3분정도 소요됩니다. 설문하러가기
SPECIAL OPENHOUSE Seoul BAG + BADGE SET 10월 30일 11:59PM
SPECIAL OPENHOUSE Seoul BADGE X 2개 10월 30일 9: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