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T YOURSELF

은평생활문화센터

최재원

은평생활문화센터 - 주민문화생활의 무대, 주택에서 피자집으로, 피자집에서 문화센터로
주택으로 지어진 건물은 연신내역 주변의 상업화로 피자집으로 활용되었고, 은평구에 매입되어 생활문화센터로 새롭게 변신하게 되었다. 조적조 건물로 안전진단을 통해 구조적인 철골 보강을 했지만 자유롭게 벽을 털거나 이동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최대한 기존 방과 벽을 활용해 원하는 공간들을 배치해야 했다. 기존 주택의 구조를 최대한 활용하여 지하 1층에는 합주가 가능한 음악연습실을, 2층에는 녹음과 편집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1층은 교육 및 휴게를 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덧붙이기 – 흔적 남기기
기존 건물에 새로운 재료를 감싸기보다는 최대한 기존 재료를 존치하고, 필요한 곳에만 덧붙이는 방식으로 계획했다. 방음 성능을 요구하는 연습실이나 녹음실 등에 기능에 맞는 마감을 더하고 대부분의 공용 공간들은 기존 건물의 마감을 뜯어낸 그대로의 모습이 드러나도록 했다. 새로 만들어질 카페 카운터, 계단의 철판 등은 구로 철판으로 기존 재료와 구조 보강재와의 관계를 고려했다. 기존 주택의 외부 재료는 대부분 그대로 남기고 외부 캐노피를 통해 새로운 켜를 만들어냈다.

주민 생활의 무대
상업 거리에 위치하는 문화센터의 가장 큰 장점은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이라 생각했다. 거리의 활기를 문화센터에 끌어들이고 싶었고, 건물과 도로 사이의 공간을 무대와 공간으로 계획했다. 바닥에서 반 층 정도 올라간 1층 높이를 활용한 넓은 계단과 무대와 같은 공간은 주민들이 작은 공연을 하거나 쉬어 갈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생활문화센터가 주민들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함께 모여서 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최재원 사진 타별(tabial)
사진_플로건축사사무소

최재원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쳤다. 범건축을 거쳐 디자인그룹 오즈건축사사무소를 공동운영했고 현재 플로건축사사무소의 공동대표이다. 신인건축사대상 대상, 건축문화대상 대상, 서울시건축상 대상, 인천시건축상 대상, 울산시 건축상 대상을 받았으며, 대표작으로 풍기읍사무소, 청라국제도서관, 구산동도서관마을, 마루뜰 어린이집 등이 있다.
http://floarchitects.kr/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178.8㎡
건축면적: 77.76㎡
연면적: 218.43㎡
규모: 지상 2층, 지하 1층 
주차: 1대 
건폐율: 43.49%
용적률: 218.43%
구조: 조적조, 철골 보강 
외부마감: 치장벽돌
내부마감: 구로 철판, 에폭시 코팅
기계설계: 한일엠이씨
전기설계: 한일엠이씨
설계기간: 2016.1~2016.8
발주처: 은평구청

Map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29길 11-10
건축가최재원
건축주은평구청
TOP LIST
OPENHOUSE 집집마당, 신성진 + 손경민 10월 28일 3:00PM
OPENHOUSE 브레이스(Brace), 한지영, 황수용 11월 5일 1:00PM
OPENHOUSE 강남 레트로, 정현아 11월 3일 4:00PM
OPENHOUSE 피겨앤그라운드, 전숙희 11월 3일 2:00PM
OPENHOUSE 루프 스테이션 익선, 강예린, 이치훈, 한주희 11월 2일 1:00PM
OPENHOUSE 집집마당, 신성진, 손경민 11월 1일 2:00PM
OPENHOUSE N1021, N910, N3315, 조성욱 10월 29일 3:00PM
OPENHOUSE 은평생활문화센터, 최재원 은평생활문화센터 - 주민문화생활의 무대, 주택에서 피자집으로, 피자집에서 문화센터로 주택으로 지어진 건물은 연신내역 주변의 상업화로 피자집으로 활용되었고, 은평구에 매입되어 생활문화센터로 새롭게 변신하게 되었다. 조적조 건물로 안전진단을 통해 구조적인 철골 보강을 했지만 자유롭게 벽을 털거나 이동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최대한 기존 방과 벽을 활용해 원하는 공간들을 배치해야 했다. 기존 주택의 구조를 최대한 활용하여 지하 1층에는 합주가 가능한 음악연습실을, 2층에는 녹음과 편집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1층은 교육 및 휴게를 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덧붙이기 – 흔적 남기기 기존 건물에 새로운 재료를 감싸기보다는 최대한 기존 재료를 존치하고, 필요한 곳에만 덧붙이는 방식으로 계획했다. 방음 성능을 요구하는 연습실이나 녹음실 등에 기능에 맞는 마감을 더하고 대부분의 공용 공간들은 기존 건물의 마감을 뜯어낸 그대로의 모습이 드러나도록 했다. 새로 만들어질 카페 카운터, 계단의 철판 등은 구로 철판으로 기존 재료와 구조 보강재와의 관계를 고려했다. 기존 주택의 외부 재료는 대부분 그대로 남기고 외부 캐노피를 통해 새로운 켜를 만들어냈다. 주민 생활의 무대 상업 거리에 위치하는 문화센터의 가장 큰 장점은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이라 생각했다. 거리의 활기를 문화센터에 끌어들이고 싶었고, 건물과 도로 사이의 공간을 무대와 공간으로 계획했다. 바닥에서 반 층 정도 올라간 1층 높이를 활용한 넓은 계단과 무대와 같은 공간은 주민들이 작은 공연을 하거나 쉬어 갈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생활문화센터가 주민들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함께 모여서 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글 최재원 사진 타별(tab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