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HD현대 글로벌 R&D 센터 (GRC)

니켄세케이

오픈하우스 진행: 김미화 (니켄세케이 팀장)

HD현대 글로벌 R&D 센터는 HD현대 17개사 연구인력 및 지원인력 약 5,000명이 근무하는 그룹의 통합사옥이며, 양질의 근무환경과 소통을 촉진하는 공간을 직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적 창의성 향상을 목표로 한 스마트오피스입니다. 또한 스마트 큐브(SMART CUBE), 스마트 보이드(SMART VOID),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를 시설 계획의 3개 축으로 삼아 기업의 이미지를 건축물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습니다. 김미화 건축가와 함께 공간에 기업의 가치를 입힌 HD현대 글로벌 R&D 센터를 통해 진화하고 있는 기업의 업무 공간을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사진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
TOP LIST
Report CAC 오픈스튜디오, 정성규
Report 국립국악원, 김원 오픈하우스 진행: 김선국 사무관(국립국악원 무대2계장) 객석에서는 보이지 않는 무대 뒤 공간 백스테이지를 중점적으로 돌아보며 무대의 이면인 그 공간이 어떻게 쓰이고 공연의 한 부분으로 완성되는지를 경험해볼 수 있었습니다. 건축가 김원의 대표작인 국립국악원을 이번에는 무대2계장 김선국 사무관과 무대에 집중해 오픈하우스를 진행했습니다.
Report "la maison, je sais jamais.” – 그 집, 나는 몰라요., 임진수(아크로마키) 오픈하우스 진행: 임진수 임진수 건축가의 설명과 함께 실험적 공간을 보여준 주택을 경험해보았습니다.   
Report 운중동 친구네집, 정재헌(모노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정재헌 운중동 친구네집은 건축가가 친구를 위해 설계한 집으로 때로는 불편을 감수하는 집입니다. 아파트의 편리한 공간 구조와 기능에 반하고 대척점에 있는 집이지만,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재료, 질감, 소리가 담겨있었습니다. 건축가인 친구의 의지와 건축주인 친구의 마음이 닿아 만든 ‘친구네집’을 경험해보았습니다.
Report 바위가, 문상배(AAPA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문상배 <바위가>는 공간의 크기 변화와 숨겨진 다락 등의 형태와 요소가 매력적이었습니다. 흥미로운 구조, 형태를 유지하며 다양한 입체공간으로 구성된 바위가 곳곳에서 재미난 일들이 벌어지길 바랬던 건축가의 마음을 따라 공간을 경험해보았습니다.
Report 플랜잇 사옥(林.Plate-au+In-cloud roof), 백상훈(S.E.E.D haus) 오픈하우스 진행: 백상훈 플랜잇 사옥은은 광고를 기획하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으로 기획되었습니다. 촬영을 위한 스튜디오 및 분장실, 회사 직원들의 업무공간 등을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배치하면서 촬영할 때 외부 사람들과 직원들이 겹치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고정된 곳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여 재탐구되어야 할 곳으로, 시작이나 끝에 있지 않은 중간지점으로서 늘 스스로 진동하면 변화하는 장소로 자리잡길 바라는 백상훈 건축가와 함께 둘러보았습니다. 사진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
Report 코이노니아 스테이, ADO 오픈하우스 진행: 강건영 서울시의 인증을 받은 민간사업자가 운영하는 이 공동주택은 주로 청년, 신혼부부가 살고 있습니다. 이전 대지에 있던 교회는 공동체에 대한 영감을 주었고, 건축가는 교회의 물리적인 시퀀스를 주택이라는 형태로 변형했습니다. 강건영 건축가의 설명과 함께 <코이노니아 스테이>를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길동 채움, 민현준 오픈하우스 진행: 민현준 자동차 연료공급 방식의 변화는 주유소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길동 채움은 과도기적인 대안으로 전기차 충전소와 문화 상업 기능을 배치하여 새로운 라이프 사이클을 제안합니다. 주유소 자리에 전기차 충전소를 두고, 그 충전 시간 동안 차 밖으로 나와 다른 문화 프로그램을 즐기며 사람도 충전한다는 주유소 터의 변신, 길동 채움을 민현준 건축가와 함께 만나보았습니다.
Report HD현대 글로벌 R&D 센터 (GRC), 니켄세케이 오픈하우스 진행: 김미화 (니켄세케이 팀장) HD현대 글로벌 R&D 센터는 HD현대 17개사 연구인력 및 지원인력 약 5,000명이 근무하는 그룹의 통합사옥이며, 양질의 근무환경과 소통을 촉진하는 공간을 직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적 창의성 향상을 목표로 한 스마트오피스입니다. 또한 스마트 큐브(SMART CUBE), 스마트 보이드(SMART VOID),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를 시설 계획의 3개 축으로 삼아 기업의 이미지를 건축물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습니다. 김미화 건축가와 함께 공간에 기업의 가치를 입힌 HD현대 글로벌 R&D 센터를 통해 진화하고 있는 기업의 업무 공간을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사진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