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udio
이로재
승효상(진행: 이동수 소장님)
이로재 IROJE architects&planners
직역하면 ‘이슬을 밟는 집’이라는 뜻의 ‘이로재(履露齋)’는 중국의 고전인 『예기(禮記)』에 그 어원을 두고 있다. 옛날에 연로하신 부친을 모시고 사는 가난한 선비가 있었는데, 아침 일찍 일어나 외투를 걸치고 부친의 처소에 가서 문 앞에서 부친이 기침(起枕)하기를 기다려, 밖으로 나오시는 부친께 따뜻해진 외투를 건네 드렸다고 한다. 부친의 처소까지 가는 걸음이 아침 이슬을 머금은 길을 밟고 가는 길이었으니, 이를 번안하면 ‘이로재’는 가난한 선비가 사는 집이라는 뜻이 된다.
승효상 건축가, 이로재 대표
1952년생.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비엔나 공과대학에서 수학했다. 15년간의 김수근 문하를 거쳐 1989년 이로재(履露齋)를 개설한 그는, 한국 건축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4.3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새로운 건축교육을 모색하고자 “서울건축학교”를 설립하는데 참가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빈자의 미학(1996 미건사)'과, '지혜의 도시/지혜의건축(1999 서울포럼)', ‘건축,사유의기호(2004 돌베개)’, ‘지문(2009 열화당)’, '노무현의 무덤/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2010 눌와)',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2012 컬쳐그라퍼)’ 등이 있다. 1998년 북 런던대학의 객원교수를 역임하고 서울대학교에 출강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가르친 바 있다.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빈자의 미학'이라는 주제를 그의 건축의 중심에 두고 작업하면서, “김수근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파주출판도시의 코디네이터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하던 그에게 미국건축가협회는 Honorary Fellowship을 수여하였으며,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2002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 전’을 가졌다. 미국과 일본 유럽 중국 각지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가지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그의 건축작업은 현재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있다. 한국정부는 그의 한국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그에게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으며,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6년 서울시 초대총괄건축가의 직무까지 마쳤다.
이동수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이로재에서 근무를 시작해, 2002년부터 서울 이로재 파트너를 맡고 있다. 2012년부터 약 이 년간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