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성북 선잠박물관-성북구립 최만린 미술관

이은경

2022년 10월 8일 2:00PM
* 유아 동반 불가능 프로그램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사진_신경섭
사진_신경섭
사진_신경섭
  • 선잠박물관에서 집결해 성북구립 최만린 미술관까지 둘러보는 코스로 진행됩니다.

  • 신청 928() 오후 2시에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 신청 링크 공개

 

선잠박물관

선잠단은 조선 시대 역대 왕비가 누에로부터 좋은 실을 얻게 하여 달라는 기원을 드리는 제사를 지내는 곳이었다. 1908년에 사직단으로 옮겨진 이후 터로 남게 된 선잠단은 복원 사업이 진행되면서 예전과 같은 모습으로 회복하는 중이다. 이에 옛것을 살리는 의미로서 작지만 기존 건물을 리모델링한 선잠박물관은 선잠단의 역사적 가치를 깨우고 함께 호흡하는 성북동 역사문화관광 거점이자 시민문화공간이다.

성북동은 역사와 문화적 토대가 비옥하지만, 현재는 복잡하고 어수선한 건물들이 거리풍경을 만들고 있다. 선잠박물관은 성북동의 역사적인 풍경을 현대적 의미에서 재해석하고 절제된 태도로 장소의 가치를 드러낸다. 직조의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비단은, 부분이 조립되어 전체가 만들어지는 입면의 구축방식과 알루미늄의 재질을 통한 질감으로 표현된다. 또한, 작은 박물관으로 시작하여 옆 건물로의 확장을 고려한 친환경적 구축방식은 입면의 연속성을 부여한다. 한양도성이 마주하는 위치에서 비단처럼 가벼운 레이어로서 투과하는 벽(silk wall)은 역사적 가치를 은유로써 환기하게 시킨다.

이은경  사진 신경섭

 

위치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96
지역지구 제1종일반주거지역, 역사문화미관지구, 자연경관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용도 문화 및 집회 시설 중 전시장
대지면적 300㎡
연면적 339.18㎡
건폐율 33.80%
용적률 101.40%
층수 지상 3층, 지하 1층

 

성북구립 최만린 미술관
최만린 미술관은 작가의 의지와 공공의 이해가 합치되어 작가의 집을 미술관으로 전환한 프로젝트이다. 삶터는 예술가의 작업에서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바탕을 형성하지만 작가의 작품보다 쉽게 사라지기 마련이다. 최만린 미술관은 성북구청에서 조각가가 거주하던 집을 매입하고 조각가는 자신의 작품을 이바지하면서 공공미술관이 되었다.
작가는 정릉에 지어진 주택을 매입하여 30년 동안 살았다. 작가는 이를 작업실을 겸한 주택으로 리모델링하여 필요한 공간으로 변화시켰다. 거실과 정원 사이의 옥외 테라스 공간이었던 곳은 실내인 침실과 거실로 바뀌고, 집의 가장 특징적인 높은 층고의 기존 거실은 작업 공간으로 변경되었다.
공공기관 발주의 리모델링은 한정된 예산으로 집행되었고, 기존 주택 공간에서 작가의 흔적과 전시장으로서 집이 가진 잠재력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최초의 거실과 옥외 테라스였던 공간은 거실에서 작업실을 거쳐 이제는 새로운 기능인 전시장으로서 적극적으로 정원과 관계를 맺고 외부로 확장된다. 나무 물성의 재료들인 계단, 천장, 아치형 목재문은 기존 그대로 보존하여 만들어진 당시의 시대를 드러내도록 한다. 외벽 벽돌은 그대로 보존하고, 바닥 벽돌은 땅을 고르고 평탄하게 다시 까는 것으로 세월의 흔적이 남아있도록 했다.
정릉은 서울 도심에서 벗어나 서민으로서 자연을 벗하며 단독주택에서 살아가는 정서가 있던 장소로서 최만린 작가뿐만 아니라 많은 예술가가 살았던 삶터였다. 상대적으로 공공공간이 부족한 저층 주거지에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작은 미술관은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 방문객, 작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교류하는 장소가 된다. 물리적 공간 만들기보다 콘텐츠가 중요한 시기에 장소를 기반으로 한 작가의 미술관이 지역 사회에서 공간 자산이 되고 이에 공공의 역할이 바람직한 참조로서 확장되기를 바란다.
 
이은경  사진 텍스쳐 온 텍스쳐
 
 
위치 서울시 성북구 솔샘로7길 23
대지면적 321㎡
지역지구 도시지역, 제1종일반주거지역
용도 제2종 근린생활시설
연면적 255.36㎡
건폐율 48.86%
용적률 66.43%
층수 지상 2층, 지하 1층
발주처 성북구청
 
 
사진_텍스쳐 온 텍스쳐
사진_텍스쳐 온 텍스쳐
사진_텍스쳐 온 텍스쳐
사진_텍스쳐 온 텍스쳐
이은경
이엠에이 건축사사무소 대표. 일상적인 공간에서부터 사람들이 대면하는 관계를 조직하는 거주하는 형(living form)과 한정된 영역을 공유하는 집합의 형(collective form)의 가치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2015 젊은건축가상을 수상했고, 대표작으로 만리동 예술인 협동조합주택, 오시리가름 협동조합주택, 고덕강일 5블럭 공동주택, 조치원 문화정원, 성북 최만린 미술관 등이 있다.
www.emaa.co.kr
 
건축가이은경
설계 담당이엠에이건축사사무소
건축주서울특별시 성북구청
일시2022년 10월 8일 2:00PM
위치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96
집합 장소선잠단(서울 성북구 성북동 64-1)
TOP LIST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양구백자박물관 도자역사문화실, 이진오 <양구백자박물관 도자역사문화실>은 15년여의 시간 동안 양구백자박물관의 작동을 지켜보면서 공을 들인 연작의 일환이다. 조선백자의 시원지(始原地)이자 원료의 산출지인 양구의 도자 역사를 정립하고 발굴 조사 및 기증유물을 전시하기 위한 <양구백자박물관 전시장 및 체험동> (2005년 착착스튜디오 김대균과 공동설계), 입주작가 작업실 및 레지던시, <양구백자연구소> (2012년 사이플러스 박인영과 공동설계)에 이은 2020년 준공작이다. 현대백자와 기획전시실, 영상전시실, 개방형 수장고의 쓰임을 추가하면서 병렬이 아닌 순환하는 고리로서 일련의 작업을 완결하였다. 상황과 쓰임에 대응하여 변주를 해왔지만, 대지에 대해 겸손한 앉음새와 흙의 물성에 주목하면서 보편 기술로 지으려는 의도는 지속하였다. 글 이진오  사진 deokho_inhwa   설계팀 (유)건축사사무소 더사이_이진오, 박지용, 황미정 협력설계 은구조, ㈜성지이엔씨, 미도적산 위치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평화로 5182 주요용도 문화 및 집회 시설(전시장) 건축면적 1,660㎡ 연면적 1,918㎡ 규모 지상 2층, 지하 1층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경량철골조 시공 ㈜삼원 설계기간 2018.1~2018.6 시공기간 2018.12~2020.7
COLLABORATION 기린그림 김종신 감독, 정다운 감독이 설립한 기린그림은 건축을 주제로 다큐멘터리, 전시 영상, TV 프로그램, 아카이브 등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건축 영상/영화 제작 스튜디오입니다. 인간의 삶을 담는 공간으로서의 건축에 대한 애정으로 ‘공간과 사람’을 영상으로 담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타미 준의 바다>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경계인의 삶을 살아간 재일교포 건축가를 통해 건축과 삶에 대한 잔잔한 감동을 안긴 바 있습니다. “아키토피아의 실험”, 국립현대미술관 건축가 김종성, 김태수 전시영상을 제작했으며, 20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CGV아트하우스 - 배급지원상을 수상한 <이타미 준의 바다>를 제작했습니다. <위대한 계약:파주, 책, 도시>로 2020년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한국경쟁부문에 올랐으며, 제12회 DMZ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에서 예술공헌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김종신은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컬리지에서 영화연출을 전공하였다. 기린그림의 대표로 2008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작업을 시작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건축관의 이타미 준, 김종성, 김태수 전시영상, 황두진, 김찬중, 가온건축의 건축영상, 방송 다큐멘터리 ‘한국 현대건축의 오늘’ 등을 만들었다. 정다운 감독과 함께 만든 <위대한 계약: 파주, 책, 도시>는 2022년 3월 개봉을 앞두고 있다.  정다운은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케임브리지대학교 건축대학원 ‘건축과 영상’ 코스를 졸업했다. 중앙대학교 영화학과에서 ‘미쟝센’과 '다큐멘터리'를 강의하고 있다. 건축 영화, 영상 제작사인 기린그림 대표로 2019년 건축 다큐멘터리 ‘이타미 준의 바다’를 개봉했다. 영화사 기린그림 웹사이트 www.giraffe-pictures.com 영화사 기린그림 유튜브  www.youtube.com/channel/UCRljJ7myLF4JmH2r67sBxyw 썸네일 사진_ 웹진 REVERSE 제공
COLLABORATION 이강석작업실 이강석작업실 Leegangseok jakupsyl 이강석작업실은 건축적 물성과 재료에 관심을 두고 사진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를 진행해오고 있는 건축 사진/영상 스튜디오입니다. 오픈하우스서울의  생동감있는 공간을 담아 오면서 도시의 기록을 함께 해오고 있습니다.
COLLABORATION 테크캡슐 테크캡슐 테크캡슐은 공간 미디어 콘텐츠 스타트업입니다. 디지털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건축과 도시 공간을 창의적인 관점으로 해석하고 계획할 수 있는 지식서비스를 제공합니다. VR/AR, 디지털 트윈,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등 공간 기반 혁신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고, 도시 건축 기록화 및 디지털 재현, 뉴미디어 콘텐츠 기획 제작,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 및 컨설팅을 사업화하고 있습니다. 우리 시대 다양한 공간 자산을 디지털 기법으로 축적하고 유통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새로운 공익을 추구합니다.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정보연구실에서 태동한 실험실벤처로서 연구와 교육 과정에서 생산된 지식이 사회 현장에서 검증되고 사회의 현안이 새로운 기술 수요를 창출하는 순환 가치를 실천합니다. 청계천 일대 도심제조업 기록화 사업 컨소시엄에서 3D 공간 스캔 조사를 수행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VR 시노그래피와 미디어 아트로 전시에 참여했습니다. 이번 오픈하우스서울 2022에서는 디지털 공간 기록과 VR을 통해 장소 경험을 확장하는 시도를 함께 하고 있습니다.   대표: 황지은  제작 이사: 정동구 프로듀서: 이택수, 방나영   테크캡슐 웹사이트  https://techcapsule.kr 테크캡슐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TechCapsuleKR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성북 선잠박물관-성북구립 최만린 미술관, 이은경 2022년 10월 8일 2:00PM
OPENHOUSE 한남뜨락, 천장환 서울의 중심부와 한강 이남을 연결하는 한남1고가차도는 서울의 주요 교통축으로서 행정구역상 하나인 한남동을 반으로 나누어 양쪽에 전혀 다른 분위기의 동네가 자리 잡도록 만들었다. 다양한 문화와 즐길 거리가 널린 이태원의 거리는 남산을 바로 앞에 두어 녹지가 많아 보이지만 막상 보행자가 돈을 내지 않고 앉아서 즐길 열린 공공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고 고가하부에서 이태원의 가로 체계 흐름이 단절되어 이곳은 사람들이 찾지 않는 삭막한 공간이 되었다.  멀리서 바라보기만 하는 남산을 끌어와 쏟아지는 햇빛을 받으며 남산의 숲속을 걷는 듯한 경험을 만들기 위해 자연을 추상화한 꽃잎 모양 구조물 9개를 설치하고 여러 방향의 보행로에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흘러들도록 하였다. 주변 블루스퀘어와 가까운 곳에 카페랑 화장실을 만들고 외부에 자유롭게 앉을 수 있는 외부공간을 많이 만들어서 서로 즐겁게 소통하는 생동하는 도시공간이 되기를 기대했다. 6m 지름의 날개로 이루어진 꽃잎 모양 구조물은 척박한 환경의 고가하부에 자연을 끌어오기 위해 추상화된 ‘인공의 자연’이다. 구조물 사이로 빛나는 LED 조명은 사람들에게 낮에는 햇빛이 나뭇잎 사이로 쏟아지는 숲을 거니는 느낌을 주고, 밤에는 별빛이 쏟아지는 들판을 거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약 15평의 카페 공간은 꽃잎 모양 구조물과 같은 6각형의 투명한 유리 박스로 되어 있다. 이곳은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거나 지나가는 보행객들에 잠시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기존 지형을 극복하기 위해 만든 건물 하부 계단은 기다림, 만남, 휴식 또는 버스킹 등의 공간으로 사용된다. 배의 난간을 닮은 계단의 난간은 한남대로를 지나는 차들을 보며 마치 막 출항하는 배 위에 홀로 올라탄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글 천장환 사진 신경섭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용산과 용산공원, 바로 읽기, 안창모 2022년 10월 10일 4:00PM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이성관 2022년 10월 11일 3:00PM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성수책마루-성동구 의회랑-성동책마루, 김태영, 김현준, 장수정 2022년 10월 12일 2: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