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계 윤웅렬 별서

김봉렬

2017년 10월 23일 4:00PM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348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반계 윤웅렬은 1856년(철종 7)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894년 갑오개혁으로 군부대신을 지냈다. 1910년 한일합방 후에는 일본정부에 의해 남작 작위를 받았다. 슬하에는 전주 이씨와의 사이에 좌옹 윤치호, 김정순과의 사이에 남포 윤치왕과 윤치창 3형제를 두었다.

윤웅렬 별서은 1904년 여름동안 서울 지역에 성행하던 성홍열이 10월이 되어도 수그러들지 않자 이를 피해 지내기 위해 창의문 밖 경승지로 손꼽히던 부암동에 조성한 여름 별장이다. 뒤편의 조적조 건물을 별장으로 지었는데, 윤웅렬이 세상을 떠난 후에는 그의 셋째아들 윤치창이 상속받아 안채 등 한옥 건물을 추가로 조성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

1977년 서울시 민속자료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에는 건축물 외에 바위, 연못, 소폭포가 문화재로 추가 지정되면서 별서정원의 주요 구성 요소들이 모두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별장의 건축적, 조경적 요소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집이다.

윤웅렬 별서은1944년까지 셋째 아들 윤치창의 소유였으나 이후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1980년대 말부터는 도쿄에 거주하는 집주인이 주로 세를 놓아 집이 망가지는 시초가 되었다. 이후 거의 폐허와 같이 방치되던 이 집을 이건창호의 박영주 회장이 소유하게 되면서 보수공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당시 사랑채는 마당을 모두 덮어 거실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원형을 많이 잃어버린 상태였다. 건물은 공기가 통하지 않아 썩고 있었으며 마당의 연못은 쓰레기 투기장이 되어버렸다.

이 집을 보수하는데 가장 큰 난제는 서울시 지정문화재라는 점이었다. 문화재는 원형보존을 원칙으로 하므로 생활에 필요한 변형과 상충되었는데 그에 따른 가장 큰 설계의 기준은 외관은 유지하되, 내부는 편리하게 하는 것이었다. 가장 먼저 단열을 해결해야 했는데, 한식 창호는 기밀성이 떨어져 단열성능이 거의 없으므로 내부에 한식시스템창호를 새로 개발하여 설치하였다. 원래 이 집에 없던 화장실과 주방 등 위생설비는 건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편리한 위치를 선정하여 실내로 들였다.
안채-사랑채-문간채로 분리된 각 건물을 신발을 신지 않고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협소한 건물 규모에 맞는 가구에 대해서도 고민하였다.


글 사진 전통문화연구소 온지음 


김봉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AA graduate school에서 수학했다.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한국역사학회, ICOMOS 한국위원회 등 관련단체 활동 및 비평과 강연 활동도 활발히 한다.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2, 3』, 『서원건축』, 『불교건축』, 등의 저서가 있다. 20대에 집필한 최초의 저서 『한국의 건축』은 일본에서도 출간되었고, 『The Secret Spirits of Korean Architecture』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한국의 책 100권’으로 선정되어 영국에서 출간되었다. 개포동교회, 현대중공업 영빈관, 프랑크푸르트 한국정원, 통의동 아름지기 사옥 별채, 여수 애양원 등을 설계했으며, LA 한국정원(2007-2012), 제주 오설록, 광주 무각사(2011) 등의 마스터플랜을 진행했다.
 

Map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348
건축가김봉렬
일시2017년 10월 23일 4:00PM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348
TOP LIST
Report Report 1964빌딩, 최욱 스페셜테마로 진행되었던 건축가 최욱의 ’1964빌딩’ 답사 모습입니다. 도산대로 사거리에 위치한 남양유업의 신사옥인 1964빌딩은 로비의 높은 층고와 남측 빛의 유입으로 보다 경쾌한 가로 경관과 함께 건물의 단면이 드러나는 입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진_이강석
OpenHouse 반계 윤웅렬 별서, 김봉렬 10월 23일 4:00PM
OpenHouse PLACE 1, 김찬중 10월 23일 4:00PM
Special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최욱 10월 23일 3:30PM
Special 1964빌딩, 최욱 10월 23일 3:00PM
OpenHouse 재단법인 아름지기 사옥, 김종규 10월 23일 3:00PM
OpenHouse 대선제분 영등포공장, 양진석 10월 23일 3:00PM
Special 현대카드 쿠킹 라이브러리, 최욱 10월 23일 1:30PM
OpenHouse 이상범 가옥 동양화가 청전(靑田) 이상범이 살았던 집이자 화실인 이곳은 2005년 등록문화재(제171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가옥은 서울시가, 화실은 종로구가 소유해 관리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방문 가능하도록 개방하고 있다.  문화재청에 의하면 가옥은 1930년대 누하동을 비롯하여 경복궁 서쪽 지역에 형성되었던 도시형 한옥 건물로 이상범 화백이 43년간 거주한 곳이며 희소성에서도 그 가치가 인정된다. 또한 화실은 이상범 화백이 화실로 사용하던 곳으로 이상범 화백이 작업에 열중하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는 곳으로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있어 가옥과 함께 선생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청전양식’이라는 자신만의 화법을 전개하던 산수화가인 이상범은 1942년부터 1972년 작고할 때까지 누하동 가옥에서 살았으며 배렴과 박노수 등이 배출되었고 그의 전성기 작품이 거의 이곳에서 완성되었다. 주택은 ㄱ자 안채와 ㅡ자 행랑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근대 도시한옥이지만 드물게 부엌에 찬마루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집, 최근 종로구립미술관으로 변신한 박노수 가옥과 함께 서촌의 근대 예술가들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소다. 글 서울시 사진 문화재청 장소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31-7, 31-8 (누하동) +참고자료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79,01710000,11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860&contents_id=76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