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경춘선 숲길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2023년 10월 29일 2:00PM
서울 노원구 공릉동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야외공간을 함께 산책하며 조경을 둘러보는 프로그램입니다. 편한 복장과 신발을 착장하시고 야외 산책이 불편하신 분들은 프로그램 신청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진행: 이진형(조경가, 조경설계 서안)


경춘선은 춘천상인들이 중심이 되어 우리민족의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만들어졌음에 의의가 있는 근대문화유산이자 살아있는 역사이다. 때문에 공원 설계의 핵심은 철길을 대하는 태도였으며 더불어 지역사회로의 환원, 그리고 도시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풀어가는 것이었다. 철길, 철교 등 남겨진 근대산업시설은 물론 주변의 푸른 녹지 틀까지 보존을 원칙으로 하고 공원은 지역주민들의 일상 속 공간으로 환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관입시키거나 방문객을 위한 새로운 조치는 최소화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보존해야 할 것’과 주민들에게 ‘되돌려 주어야 할 것’을 정하였고 ‘기억과 꿈을 가꾸어 가는 경춘선 공원길’이 경춘선의 새 이름이 되었다.
맨 처음 설계를 시작한 1구간은 경춘선의 폭이 겨우 12m 남짓 되는 단독주택 지변으로 주차장에 대한 민원이 심한 곳이었으며 좁은 골목길과 얽혀있는 복잡한 마을의 구조였다. 우리는 주민들의 일상 속으로 공간을 환원시키기 위해 ‘마을의 뜰’을 주제로 벚나무와 살구나무 아래 계절초화와 향토초화로 정원을 만들고 지역주민들이 함께 가꾸는 작은 정원공간을 배려하였다. 그리고 철길변 숲길이 잘 남아있는 곳은 그 공간의 느낌을 강조하며 산책공간으로 돌려주었다.
다음 2단계 구간은 중랑천을 지나는 철교와 함께 공동주택지가 조성된 지역이자 주민들이 산책하던 잣나무 수림과 철길변을 따라 텃밭으로 사용하던 구간으로 도시농업교육프로그램이 자생적으로 진행되던 장소였다. 그래서 지역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커뮤니티 정원과 생산정원이 주제가 되어 소소하게 공간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중랑천 산책로와 자전거길을 연결한 철교는 옛 모습을 최대한 살려 경춘선의 향수를 간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 구간은 화랑대역구간이다. 지역주민들의 생활권과 바로 맞닿아 있지는 않지만 즐기기 좋은 여가공간이다. 옛 향수를 고스란히 간직한 화랑대역사는 문화재로 보존하게 되었기에 그 주변의 플랫폼과 철길, 그리고 철길변의 숲 또한 그대로 보존하고 조금 여유로운 공터에 폐기차를 활용한 작은 북카페와 함께 마을의 행사를 위한 공간을 조성했다.
이로써 경춘선숲길은 도시 내 버려졌던 산업시설의 공원화를 통해 도시재생과 지역활성화의 모범적인 사례로 매우 의미가 큰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글 사진 조경설계 서안


위치: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면적: 연장6.3Km    
설계년도: 2014~16    
범위: 계획, 기본/실시설계
©조경설계서안
이진형(조경가, 조경설계 서안)
이진형 소장은 조경설계 서안(주)에서 처음 설계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작업하고 있는 조경설계가이다. 그가 서안에서 진행한 주요작품은 선유도공원, 청계천복원사업, 여의도샛강조성사업, 광화문광장조성사업, 세종시 호수공원, 실학생태공원, 경춘선공원화사업과 같이 도시인프라과 관련된 프로젝트가 주를 이루며 그 작업 속에서 조경이 만나는 ‘도시와 사회의 관계’에서 실천적인 전략을 탐구하고 있다.
satla.co.kr
Map서울 노원구 공릉동
건축가정영선(조경설계 서안)
일시2023년 10월 29일 2:00PM
위치서울 노원구 공릉동
집합 장소녹천중학교 정문 신한은행atm 앞(좌측지도)
TOP LIST
SPECIAL <땅에 쓰는 시> 다큐멘터리, 기린그림 10월 29일 7:00PM
OPENHOUSE [전시] 주한 프랑스대사관 전시 오픈하우스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DPA 도미니크 페로 & 정림 컨소시엄 10월 29일 4:00PM
OPENHOUSE 과학자의 집, 조세연+이복기+최민욱(노말건축사사무소) 10월 29일 4:00PM
OPENHOUSE [시간제 예약] 고석공간, 김수근 10월 29일 3:00PM
SPECIAL 경춘선 숲길,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10월 29일 2:00PM
OPENHOUSE 도예가의 스튜디오 하우스 '란트샤프트', 심근영(아키텍츠 601) 10월 29일 2:00PM
OPENSTUDIO 스튜디오 히치, 박희찬 10월 29일 2:00PM
OPENHOUSE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 민현준(홍익대학교)+(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10월 29일 2:00PM
SPECIAL 양천공원 책쉼터, 김정임 처음 해야 할 일은 공원 안에 집을 앉힐 자리를 찾는 것이었다. 야외공연장 무대 구조물을 개조하여 어린이놀이터로 만든 장소 옆에 자리를 잡아 비슷한 기능을 묶어주는 것이 좋겠다 싶었다. 집을 앉힐 터에는 듬성듬성 몇 그루의 나무가 있었는데 수형이 예쁜 감나무 한 그루가 눈에 들어왔다.  그 나무를 잘 살리는 방향으로 계획을 시작한 것이 결과적으로 예전부터 그곳에 있는 것들의 존재를 다 수용하며 집을 앉히는 것으로 발전되었다. 감나무와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나무 그늘 아래 둘러앉을 수 있는 외부공간을 만들고 서쪽의 놀이터와 동쪽 잔디밭의 둥근 선형을 그대로 가져와 집을 앉혔다. 먼저 있었던 존재들 사이를 조심스레 비집고 들어가 집이 앉은 모양새이다.  부지에 있던 1.2m 정도의 레벨 차이는 내부에서 그대로 경사로로 연결하여 아래 레벨은 카페와 어우러져 차 한잔하면서 책 읽는 공간으로, 위 레벨에는 어린이를 위한 도서를 두어 조용하고 편안하게 책을 볼 수 있는 분위기로 만들었다. 또한, 레벨 차를 이용해 몇 단의 계단식 좌석을 만들었는데 그 앞쪽의 잔디밭을 향한 외벽은 폴딩 도어를 설치해 계절 좋은 날은 열어서 작은 음악회나 영화상영 등 공원과 연계된 다양한 이벤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서관을 설계할 때 예전에는 서재 같은 공간을 만들었다면 요즘은 거실 같은 분위기의 공간으로 만드는 추세이다. 양천공원 책쉼터도 개방된 하나의 공간으로 계획하여 책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사람들이 책을 읽거나 차를 마시거나 대화를 나누는 등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거실 같은 분위기가 되길 바라며 계획하였다. 공간이 부드럽게 흘러가는 느낌을 주기 위해 구조 부재를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 중앙의 커피스탠드와 원형 보이드를 이용하였다. 커피스탠드는 지붕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중심 역할을 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로 계획하고, 두 개의 원형 보이드 경계에는 책장과 결합한 스틸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끝부분의 처짐을 받게 하였다. 140평 규모의 단층 건물은 녹음이 우거졌을 때나 잎을 떨군 후 짙은 색의 나뭇가지들이 돋보일 수 있는 배경이 되도록 아이보리색 벽돌로 마감하였다. 놀이터와 책쉼터 사이에는 두께 9mm 철판을 가느다란 원형 기둥으로 받친 간결한 형태의 캐노피를 만들어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 그리고 함께 온 어른들이 쉴 수 있는 그늘 공간을 두었다. 건축물과 주변 환경이 엮여서 하나의 장소로서 기능하며 다양한 사용풍경이 펼쳐지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공원과 도서관은 참 잘 어울린다. 개관 후 거기서 일하시는 사서 선생과 얘기할 기회가 있었는데 비 오는 날, 눈 오는 날이 참 좋다는 얘길 해주셨다. 생각해보니 궂은날 건물 안의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책장을 넘기며 공원을 바라보는 기분이 꽤 괜찮을 것 같다. 서울시에서는 혹한기나 혹서기에도 공원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공원 안에 쉼터 만들기 사업을 계속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생활 SOC 사업이고 공간복지를 구현하는 일인데 거창하게 말하지 않더라도 동네에 누구나 쉽게 갈 수 있는 좋은 공간이 많이 있다는 건 모두가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이고 이를 설계할 기회를 얻게 된 건 건축가에게도 무척 보람된 일이었다.  글 김정임 사진 노경 서로아키텍츠 seoroarchitects.com/ 양천공원 책쉼터 장소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 111 양천공원 책쉼터 개관 화-일 10:00 ~ 19:00 휴관 월요일 및 공휴일 이용요금 무료  문의 010-9809-0596 홈페이지 ycpark.modoo.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