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UDIO

스튜디오 히치

박희찬

2023년 10월 29일 2:00PM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62다길 11, 2층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스튜디오 히치(Studio Heech)는 2018년 서울에서 설립해 다양한 종류의 건축, 공간, 산업디자인, 디지털 인터렉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이다. 스튜디오 히치의 건축 작업은 전통적인 만들기 기법(traditional craftsmanship)과 우리 시대의 기술(technology in our times)을 결합하는 오랜 시도로 연결되며, 다양한 분야의 장인, 엔지니어, 예술가, 디자이너들, 도시 연구자들과 협업한 결과물들이다. 히치는 건축 공간과 장소의 창조가 우리 삶과 지구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으며, 히치의 건축 디자인 작업은 초기 단계부터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염두에 두고 진행된다. 산양양조장으로 2020년 한국건축가협회상과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우수상을 받았다.


스튜디오 히치
www.studioheech.com

박희찬
서울과 런던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실무를 쌓았으며, <Sir Henry Herbert Bartlett Travel Scholarship>을 수상하였고, 런던의 로열 아카데미(Royal Academy)에 작품이 초대되어 전시하였다. 영국왕립건축사(RIBA)로 2018년 서울에서 스튜디오 히치를 설립했으며, 저서로는 『여행의 기록 알바 알토』가 있다. 문화체육부 장관이 수여하는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2022년)을 수상하였으며, 2023년에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정례전 <젊은 모색> 전시에 ‘리추얼 머신(Ritual Machine)’으로 참여하였다.

Map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62다길 11, 2층
건축가박희찬
일시2023년 10월 29일 2:00PM
위치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62다길 11 2층 스튜디오 히치
집합 장소건물 1층 카페 엔지니어링클럽
TOP LIST
SPECIAL <땅에 쓰는 시> 다큐멘터리, 기린그림 10월 29일 7:00PM
OPENHOUSE [전시] 주한 프랑스대사관 전시 오픈하우스 <라이트워크, 서울 강남복합환승센터>, DPA 도미니크 페로 & 정림 컨소시엄 10월 29일 4:00PM
OPENHOUSE 과학자의 집, 조세연+이복기+최민욱(노말건축사사무소) 10월 29일 4:00PM
OPENHOUSE [시간제 예약] 고석공간, 김수근 10월 29일 3:00PM
SPECIAL 경춘선 숲길,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10월 29일 2:00PM
OPENHOUSE 도예가의 스튜디오 하우스 '란트샤프트', 심근영(아키텍츠 601) 10월 29일 2:00PM
OPENSTUDIO 스튜디오 히치, 박희찬 10월 29일 2:00PM
OPENHOUSE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 민현준(홍익대학교)+(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10월 29일 2:00PM
SPECIAL 양천공원 책쉼터, 김정임 처음 해야 할 일은 공원 안에 집을 앉힐 자리를 찾는 것이었다. 야외공연장 무대 구조물을 개조하여 어린이놀이터로 만든 장소 옆에 자리를 잡아 비슷한 기능을 묶어주는 것이 좋겠다 싶었다. 집을 앉힐 터에는 듬성듬성 몇 그루의 나무가 있었는데 수형이 예쁜 감나무 한 그루가 눈에 들어왔다.  그 나무를 잘 살리는 방향으로 계획을 시작한 것이 결과적으로 예전부터 그곳에 있는 것들의 존재를 다 수용하며 집을 앉히는 것으로 발전되었다. 감나무와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나무 그늘 아래 둘러앉을 수 있는 외부공간을 만들고 서쪽의 놀이터와 동쪽 잔디밭의 둥근 선형을 그대로 가져와 집을 앉혔다. 먼저 있었던 존재들 사이를 조심스레 비집고 들어가 집이 앉은 모양새이다.  부지에 있던 1.2m 정도의 레벨 차이는 내부에서 그대로 경사로로 연결하여 아래 레벨은 카페와 어우러져 차 한잔하면서 책 읽는 공간으로, 위 레벨에는 어린이를 위한 도서를 두어 조용하고 편안하게 책을 볼 수 있는 분위기로 만들었다. 또한, 레벨 차를 이용해 몇 단의 계단식 좌석을 만들었는데 그 앞쪽의 잔디밭을 향한 외벽은 폴딩 도어를 설치해 계절 좋은 날은 열어서 작은 음악회나 영화상영 등 공원과 연계된 다양한 이벤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서관을 설계할 때 예전에는 서재 같은 공간을 만들었다면 요즘은 거실 같은 분위기의 공간으로 만드는 추세이다. 양천공원 책쉼터도 개방된 하나의 공간으로 계획하여 책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사람들이 책을 읽거나 차를 마시거나 대화를 나누는 등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거실 같은 분위기가 되길 바라며 계획하였다. 공간이 부드럽게 흘러가는 느낌을 주기 위해 구조 부재를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 중앙의 커피스탠드와 원형 보이드를 이용하였다. 커피스탠드는 지붕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중심 역할을 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로 계획하고, 두 개의 원형 보이드 경계에는 책장과 결합한 스틸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끝부분의 처짐을 받게 하였다. 140평 규모의 단층 건물은 녹음이 우거졌을 때나 잎을 떨군 후 짙은 색의 나뭇가지들이 돋보일 수 있는 배경이 되도록 아이보리색 벽돌로 마감하였다. 놀이터와 책쉼터 사이에는 두께 9mm 철판을 가느다란 원형 기둥으로 받친 간결한 형태의 캐노피를 만들어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 그리고 함께 온 어른들이 쉴 수 있는 그늘 공간을 두었다. 건축물과 주변 환경이 엮여서 하나의 장소로서 기능하며 다양한 사용풍경이 펼쳐지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공원과 도서관은 참 잘 어울린다. 개관 후 거기서 일하시는 사서 선생과 얘기할 기회가 있었는데 비 오는 날, 눈 오는 날이 참 좋다는 얘길 해주셨다. 생각해보니 궂은날 건물 안의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책장을 넘기며 공원을 바라보는 기분이 꽤 괜찮을 것 같다. 서울시에서는 혹한기나 혹서기에도 공원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공원 안에 쉼터 만들기 사업을 계속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생활 SOC 사업이고 공간복지를 구현하는 일인데 거창하게 말하지 않더라도 동네에 누구나 쉽게 갈 수 있는 좋은 공간이 많이 있다는 건 모두가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이고 이를 설계할 기회를 얻게 된 건 건축가에게도 무척 보람된 일이었다.  글 김정임 사진 노경 서로아키텍츠 seoroarchitects.com/ 양천공원 책쉼터 장소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 111 양천공원 책쉼터 개관 화-일 10:00 ~ 19:00 휴관 월요일 및 공휴일 이용요금 무료  문의 010-9809-0596 홈페이지 ycpark.modoo.at